Changes of pH, Meat Color, Cooking Loss, Shear Force and Sensory Evaluation on Hanwoo Meat Fed with Supplemental Fig Fermentation during Storage Period

무화과 발효물을 급여한 한우고기의 저장기간 중 pH, 육색, 가열감량, 전단력 및 관능평가의 변화

  • Kook, Kil (Division of Animal Science and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Kwang-Hyun (Division of Animal Science and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국길 (전남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동물자원학부) ;
  • 김광현 (전남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동물자원학부)
  • Published : 2002.12.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hanges of pH, meat color, cooking loss, shear force and sensory evaluation on Hanwoo meat fed with supplemental fig fermentation(SFF) during storage period. A total of 10 Hanwoo bulls were subjected to one of two treatment diets (control and 10% SFF) from live weight of 400kg far 6 months. After slaughter, longissimus muscles were removed, zipper-wrapped and stored at 4$\^{C}$ for 21 days. The pH, meat color, cooking loss, shear force and sensory evaluation of the samples were measured at 1, 3, 9, 15, 21 days of storag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pH, meat objective color(Hunter L, a and b) and cooking loss (%) of longissimus muscles between control and SFF treatment during storage. Shear force values of longissimus muscle from SFF treatment showed lower level in 1, 3 and 9 days and tended to decrease during storage. No differences in odor and appearance of sensory evaluation were observed between control and SFF treatment during storage. The taste induced by SFF was increased(f<0.05) at 1, 3 and 9 days of storag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FF may improve meat quality of Hanwoo during storage.

본 연구는 무화과 발효액을 비육후기 한우 숫소에 6개월 간 급여하여 생산된 등심육의 저장기간 궁의 pH, 육색, 가열 감량, 전단력 및 관능평가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실험동물은 평균체중 400$\pm$22kg인 한우 숫소 10두를 대조구(0%)와 무화과 급여구(10%)의 2개 처리구로 5두씩 배치하여 6개월간 사육하였다. 저장기간 중 pH 변화는 무화과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저장 1, 3 및 9일에 높은 경향을 나타냈으며 저장 15 및 21일에는 낮은 경향을 나타냈는데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명도와 적색도는 무화과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저장 1, 3 및 9일에 높은 반면에 저장 15와 21일에는 낮은 경향을 나타냈는데 처리구간에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황색도는 무화과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저장 1일에 높은 반면에 저장 3, 9, 15 및 21일에는 낮게 나타났으며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가열감량은 무화과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저장 1, 3 및 9일에 낮은 반면에 저장 15와 21일에는 높게 나타났는데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전단력은 저장기간 동안 무화과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는데 특히 저장 1, 3 및 9일에 유의적인(P<0.05) 차이를 나타냈다. 냄새와 외관은 저장기간 동안 무화과 급여구에서 개선되는 경향이었는데 처리구간의 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맛은 저장기간 동안 무화과 급여구에서 높게 나타났는데 특히 저장 1, 3 및 9일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이상의 시험 결과는 무화과 발효물을 급여한 한우 등심육의 저장기간 중 연도와 맛에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20%를 차지하여 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생명공학에 대한 연구가 20년 평균 6.6%에서 최근 5년 평균 15%로 급속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은 잡초에 관한 연구가 20년 평균 2.5%에서 최근 5년간 5.9%로 증가하였다. 수량성 및 사료가치에 관한 연구는 '82~'86 5년 평균 31.3%에서 최근 5년간 7.7%로 급격히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방목연구 또한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esveratrol 화합물도 작용하였으리라고 사료되어 이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작약씨에 함유된 물질들의 지질대사 개선효과는 이미 보고된 항산화기능과 함께 동맥경화 예방에 유효할 것으로 기대되며 기능성 식품에 활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lopectin, which playa leading role in protein interaction, with the oxidation of starch.으며 엽산을 공급시킨 군에서는 에탄올 급여군과 pair-fed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볼 때 에탄올 급여시 혈장 내 콜레스테롤 함량은 엽산 섭취에 의해 증가되었으나 지질과산화물과 항산화 효소 및 항산화 영양소의 변화에 대하여 엽산결핍이 에탄올 섭취에 의해 변화된 항산화계의 손상을 더욱 가중시키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순환이 뇌대사 및 수술 후 신경학적 결과에 보다 유익한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3) to alleviate farmers' heat strain, clothing manufacturers must consider not only the improvement

Keywords

References

  1. Bartolmew, D. T. and Blumer, J. N. (1977) Microbial interactionsin country-style hams. J. Food Sci.. 42, 498-502 https://doi.org/10.1111/j.1365-2621.1977.tb01531.x
  2. Boakye, K. and Mittal, G. S. (1996) Changes in color of beeflongissimus dorsi muscle during ageing. Meat Sci., 42, 347-354 https://doi.org/10.1016/0309-1740(95)00025-9
  3. Bouton, P. E. and Harris, P. V. (1972) A comparison of someobjective methods used to assess meat tenderness. J. Food Sci.,37, 218-221 https://doi.org/10.1111/j.1365-2621.1972.tb05820.x
  4. Deymer, D. I. and Vandekerckhove, P. (1979) Compounds determining pH in dry sausage. Meat Sci., 3, 161-168 https://doi.org/10.1016/0309-1740(79)90033-0
  5. Huff, E. J. and Jr. Farrish, F. C. (1993) Bovine Iongissimus muscletenderness as affected by postmortem ageing time, age and sex. J.Food Sci., 58, 713-716 https://doi.org/10.1111/j.1365-2621.1993.tb09341.x
  6. SAS (1988) SAS User's Guide : Statistics. SAS Inst., Inc., Cary, NC
  7. 根岸晴夫, 夏野ぬぐみ, 吉川純夫 (1991) 牛肉の熟度指標として物理化學的性質. 日畜會報. 62,178
  8. 기해진. 황영선 (1998) 무화과 단백질 분해효소의 식품에의 이용. 한국축산식품학회지, 18(3), 19-26
  9. 약품식물학연구회 (1984) 약품식물학각론. 진명출판사, pp.130-131
  10. 한찬규 (1996) 기능성 축산 식품의 개발현황. 축산기술과 산업. 4(2), 49-63
  11. 제주농업시험장 (1997) 양돈사료에 무화과잎(분말) 첨가효과. 시험연구보고서, pp. 87-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