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형 지식의 인식론적 특성과 존재론적 지형 교육

An Epistemology of Geomorphology and An Ontological Approach to Geomorphology Education

  • 송언근 (대구교육대학교 사회교육과)
  • 발행 : 2002.09.01

초록

본 논문은 지형 지식의 인식론적 특성과 교육적 의미를 토대로 지형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형 지식은 발견된 것이 아니라 구성된 것이다. (2) 지식의 내용은 지각되고 규정된 형상을 토대로 이차적으로 구성된다. (3) 따라서 지형 지식의 구성은 지에 형의 의미를 부여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4) 구성의 토대는 해석자의 주관적 혹은 해석자간의 간주관적 해석이다. (5) 해석적 순환의 구성 속에서 점차 고차적인 지형 지식으로 발달한다. 이 같은 특성에 토대 할 때 지형 교육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1) 지형의 지식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구성하는 태도와 과정 속에 살게 한다. (2) 일상생활에서도 자기 주변의 지형에 대해 의문과 호기심을 갖고 그것을 스스로 해결하고자 하는 탐구적 자세를 갖도록 한다. (3) 삶과 지형과의 관계를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는 인식의 틀을 형성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 particular approach to geomorphology education based on an epistemology (anti-realist of geomorphology knowledge. Anti-realist epistemology of geomorphology may be characterized by the belief that (1) geomorphology knowledge is made or constructed rather than discovered, (2) knowledge construction begins with the perception of meaningfulness of the landform, and (3) it means recognizing the given land in terms of shape or form; (4) the construction is, in other words, a subjective or inter-subjective interpretation by the perceivers; (5) knowledge develops along with the hermeneutic circles. Aims of geomorphology education according to this epistemology, may be (1) to have children not so much construct geomorphology knowledge as live the very construction, (2) to have children maintain an enduring interest in their surrounding landform, and (3) to have them appreciate the intimate connections between the landform of a region and the modes of living in that region. In short, aims of geomorphology education may have to be ontological, i.c., to have children engaged in the understanding as a process of living rather than for the resulting knowledge.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정화, 1997, 지역인식논리와 지역지리 교육의 내용 구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김동식 엮음, 1997, 로티와 철학과 과학, 서울: 철학과 현실사
  3. 손일, 김일곤, 손명원, 1996, 자연지리학이란 무엇인가, 대구: 도서출판 신일
  4. 송언근, 2000, '구성주의 지리교육의 실천적 구성을 위한 현장연구 I', 대한지리학회지, 35(4), 565-583
  5. 송언근 2001a, '구성주의 지리교육의 실천적 구성 을 위한 현장연구 II' , 대한지리학회지, 36(1), 15-34
  6. 송언근, 2001b, 자연지리영역의 핵심 내용과 주제에 대한 토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01-5
  7. 송언근, 2002, '자실적 지리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구성의 논리적 토대: 초등 지리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지리$\cdot$환경교육학회지, 10(1), 41-51
  8. 엄태동, 1998, 교육적 인식론 탐구, 서울: 교육과학사
  9. 엄태동, 1999, 로티의 네오프래그마티즘과 교육, 서울: 원미사
  10. 이홍우, 2000, '교과와 실재' 대한수학교육학회, 2000년도 추계수학교육연구 발표대회 논문집
  11. 조용기, 1996, '구성주의 교육의 구성' 교육철학 14, 한국교육철학회
  12. 조정옥, 1998, 알기 쉬운 철학의 세계, 서울: 철학과 현실사
  13. 조정옥, 2000, 영화처럼 다가오는 철학이야기, 서울: 철학과 현실사
  14. 최창호, 2000, 인간의 선태, 서울: 학지사
  15. 허운나, 김영옥 편저. 1998, 정보시대와 미국의 교육혁명, 서울: 교육과학사
  16. Beurbules, N. C. 1996, Postrnodern Doubt and Philosophy of Education, philosphy of Education 1995, 39-48
  17. Toulmin. S., 1990, Cosmopolis: The Hidden Agenda of Modernity,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8. Von Glasersfeld, E., 1991, A constructivist approach to teaching, in Steffe, 1. P. & Gale, J. eds., Constructivsm in Education, NJ: Lawrence Erlbaurn Associates & Publishers, 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