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과 생활중심 교수-학습의 의미와 실제

Meaning and Practice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Everyday Life in Geography Subject Matter

  • 장의선 (한국교원대학교 지리교육과) ;
  • 김일기 (한국교원대학교 지리교육과) ;
  • 이민부 (한국교원대학교 지리교육과) ;
  • 박승규 (춘천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 발행 : 2002.09.01

초록

본 논문은 지리과 교수-학습에서 학습자의 일상생활경험을 바탕으로 한 내용과 방법이 지리지식과 접목되었을 때, 지리과 교육의 목표성취에 보다 효과적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생활중심 교수-학습에서는 지리학과 지리교육과정에서 도출된 과학적.체계적인 비일상적 지리개념이 내용선정의 범위를 이루고, 그러한 개념들의 체계적인 위계가 내용조직의 계열성을 대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내용 구성의 실제에 있어서는 이러한 개념들이 학습자들의 생활세계에서 경험되는 자연발생적이고도 일상적이며. 구체적인 지리적 요소로부터 이해될 수 있도록 선정.조직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지리과 생활중심 교수-학습 내용의 선정준거로는 일상적으로 학습자의 생활이 이루어지는 지역공간을 토대로 한 내용, 체계적인 지리개념을 효과적으로 인식 할 수 있는 일상생활의 구체적 내용, 변화하는 생활공간에 대한 학습자들의 지리적 생활경험을 반영하는 내용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시된 준거를 바탕으로 지리과 교육과정의 '환경문제와 지역문제'단원을 선정하여, 생활중심 교수-학습의 실제내용을 선정 개발하였다.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ntents and methods focusing on the leamer's geographical experience of everyday life and environments, are very effective for teaching and teaming in geography subject matter. The contents have to be selected and structurized from private geographies about their region of everyday life for teaming abstractive and scientific concepts of geography. Scientific concepts of geography, i.e. geographical concepts become 'scope'for selecting the contents and these systematic structure substitutes 'sequence'. The criteria by which selected contents of teaching and teaming based on everyday life may consist of three elements: region as leamer's place for everyday life; concrete experience of the place; and leamer's changing geographical experience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창숙$\cdot$김일기, 2001, '지리개념의 발달과 학습에 대한 인지심리학적 고찰'. 대한지리학회지, 36(2), 161-176
  2. 권정화, 1997, 지역인식논리와 지역지리 교육의 내용 구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상호, 1976, '생활공간의 기초지역 연구'. 지리학 연구, 1(2), 1-25
  4. 김일기, 1984, '지지교육의 제 문제'. 지리학의 관제와 접근방법: 석천 이찬 박사 화갑기념 논문집, 595-613
  5. 김덕현, 2000, '문화, 역사와 삶의 질: 삶의 질을 위한 경관 독해'. 대한지리학회지 제 35권 제2호 281-294
  6. 남상준, 1999, 지리교육의 탐구, 교육과학사, 서울
  7. 대전교육과학연구원, 2000, 중등수업모형적용자료
  8. 류성림, 1999, '수학교육에서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역할에 관한 고찰‘ 과학$\cdot$수학 교육연구, 22, 109-131
  9. 박규태$\cdot$이상률, 1999, '공간, 시간, 사회/자연의 상호관계성에 의한 지역이해'. 한국지역지리 학회 지, 5(2), 15-27
  10. 박승규.김일기, 1998, '사회과 지역학습에서 '지역'의 의미 탐색'. 사회교육연구, 5, 71-90
  11. 박승규$\cdot$심광택, 1999, '경관과 기호 표상을 활용한 지역 학습: 수도권을 사례로'. 대한지리학회지, 34(1), 85-98
  12. 박승규, 2000, 일상생활에 근거한 지리교과의 재개 념화, 한국교원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손봉호$\cdot$이승종$\cdot$이미나$\cdot$조영달$\cdot$박윤경$\cdot$오인석$\cdot$김진영$\cdot$이건홍$\cdot$윤인근$\cdot$이승호$\cdot$김진수$\cdot$심은희, 2002, 고등학교 사회, (주)두산
  14. 오경섭$\cdot$기근도$\cdot$장준현$\cdot$정문성$\cdot$이영호$\cdot$김준연$\cdot$김육훈, 2002, 고등학교 사회, 도서출판 디딤돌
  15. 이돈희, 1993, 교육적 경험의 이해, 교육과학사, 서울
  16. 이돈희$\cdot$박순경$\cdot$김정호, 1997, 사회과교과학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7. 이영민, 1999, '지역정체성 연구와 지역 신문의 활용'. 한국지역지리학회지, 5(2), 1-14
  18. 이홍우 외(역), 1991, 경험과 이해의 성장, 교육과 학사, 서울, D. W. Hamlyn, 1978, Experience and The Growth of Understanding , Routledge & Kegan Paul, London
  19. 이홍우, 1994, '敎科와 生活의 關聯: 센스와 넌센스'. 교육이론, 제7$\cdot$8권(1), 1-20
  20. 전종한, 2002, 종족집단의 거주지 이동과 지역화과정: 14~19세기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최기엽, 1983, '장소의 이해와 상징적 공간의 해독'. 지리학논총, 10, 151-163
  22. 최병모$\cdot$정선영$\cdot$강세중$\cdot$박희두$\cdot$김학훈$\cdot$김석언$\cdot$김진우$\cdot$이혁규, 2002, 고등학교 사회,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3. 황만익$\cdot$최운식$\cdot$장 호$\cdot$진기문$\cdot$박병석$\cdot$유대환$\cdot$탁송일$\cdot$이진석$\cdot$육근록$\cdot$김기철$\cdot$김재준$\cdot$전석재$\cdot$강신태, 2002, 고등학교 사회, 지학사
  24. Bowles, R, 1997, Teaching about the local community: using first-hand experience, in Tilbury, D., Williams, M.(ed.), Teaching and learning geography, Routledge, London
  25. Fine, J., 1983, Humanistic Geography, in Huckle, J.(ed.), Geographical Education: Reflection and A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26. Fine, J., 1996, Teaching to Care: A Case for Commitment In Teaching Environmental Values, in Rod Gerber, John Lidstone, (ed.), Developments and Directions in Geographical Education, Channel View Publications, England
  27. Graves, N. J. 1980, Curriculum Planning in Geography, Heinemann Educational Books, London
  28. Henley, R., 1989, The Ideology of Geographical Language, in Slater, F., Language and Learning in the Teaching of Geography, Routledge, London
  29. Lambert, D., balderstone, D., 2000, Learning to Teach Geography in the Secondary School, Routledge, London
  30. McNeil, J. D., 1990, Curriculum: a comprehensive introduction, Harper Collins, USA.
  31. Rawling, E., 2000, National Curriculum geography: new opportunities for curriculum development?, in Kent, A.(ed.), Reflective Praaice in Geography Teaching, Paul Chapman, Publishing, London
  32. Slater, F., 1996, Values: towards mapping their locations in a geography education, in Kent, A., Lembert, D., Naish, M., Slater, F. (ed.), Geography in Education: Viewpoints On Teaching and Learn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33. Vygotsky, L. S. 1987a, R. W. Rieber & A. S. Carton(eds.), translated by N. Minick, The Collected Works of L. S. Vygotsky: Problems of General Psychology, including the Volume 'Thinking and Speech'(Vol. 1), NY: Plenum
  34. Vygotsky, L. S. 1987b, R W. Rieber(ed.), translated by M. J. Hall, The Collected Works of L. S. Vygotsky: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Higher Mental Function(Vol. 4), NY: Plen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