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Osip-cheon river flowing on the east side of the Taeback mts. has formed river terraces on the several heights along the middle- and downstream. The river terraces are classified into 5 climatic ones and 7 thalassostatic ones. The thalassostatic ones are found to the height of 145-l50m level at 20-30m intervals. These vertical distribution is caused by the continuous uplift and periodical rise and fall of the sea-level. The high higher surfaces among the thalassostatic ones are the highest among those of Korea. The chronologies of the terraces are correlated to the marine oxygen isotope stages : The thalassostatic terraces on the level of 40 m.a.s.l. are to the stage 7, 70 m.a.s.l.. to the stage 9, 90 m.a.s.l. to the stage 9, 110 m.a.s.1. to the stage 11 and those of 150 m.a.s.1. to the stage 15 among the Interglacial Ages. The landuses and geomorphic landscapes of the Samchok area are chracteristic, because the karst landforms, such as doline and uvala, are developed on the surfaces of the middle-, the higher- and the high higher surfaces of river terrace.
태백산맥 동사면을 흘러 직접 동해로 유입하는 삼척 오십천의 중.하류부 하안단구는 기후단구와 해면변동단구로 구분된다. 기후단구는 5단이 확인되며, 해면변동단구는 해발고도 145-150m까지 7단의 지형면이 20-30m 간격으로 분포한다. 이와 같은 해면변동단구의 수직적 분포특징은 지반의 지속적인 융기와 기후변화에 의한 빙기와 간빙기의 해면승강작용의 결과이다. 해면변동단구 고고위면은 한반도에서 현재까지 보고된 가장 높은 해안단구보다 해발고도가 더 높다. 해발고도 40m에 분포하는 해면변동단구는 marine oxygen isotope stage 7, 해발고도 70m인 해면변동단구는 stage 9, 해발고도 90m인 해면변동단구는 stage 11, 해발고도 110m 지형면은 stage 13, 해발고도 150m 지형면은 stage 15의 간빙기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중위면, 고위면과 고고위면에는 doline와 함께 uvala와 같은 카르스트지형이 발달하고 있으므로 토지이용과 지형경관이 특징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