三陟 五十川 중.하류부의 河岸段丘 지형발달

The Geomorphic Development of River Terraces along the Middle and the Lower Parts of the Osip-cheon River in Samchok City

  • 윤순옥 (경희대학교 문리과대학 지리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 황상일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 정석교 (경기기계공업고등학교)
  • 발행 : 2002.09.01

초록

태백산맥 동사면을 흘러 직접 동해로 유입하는 삼척 오십천의 중.하류부 하안단구는 기후단구와 해면변동단구로 구분된다. 기후단구는 5단이 확인되며, 해면변동단구는 해발고도 145-150m까지 7단의 지형면이 20-30m 간격으로 분포한다. 이와 같은 해면변동단구의 수직적 분포특징은 지반의 지속적인 융기와 기후변화에 의한 빙기와 간빙기의 해면승강작용의 결과이다. 해면변동단구 고고위면은 한반도에서 현재까지 보고된 가장 높은 해안단구보다 해발고도가 더 높다. 해발고도 40m에 분포하는 해면변동단구는 marine oxygen isotope stage 7, 해발고도 70m인 해면변동단구는 stage 9, 해발고도 90m인 해면변동단구는 stage 11, 해발고도 110m 지형면은 stage 13, 해발고도 150m 지형면은 stage 15의 간빙기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중위면, 고위면과 고고위면에는 doline와 함께 uvala와 같은 카르스트지형이 발달하고 있으므로 토지이용과 지형경관이 특징적이다.

The Osip-cheon river flowing on the east side of the Taeback mts. has formed river terraces on the several heights along the middle- and downstream. The river terraces are classified into 5 climatic ones and 7 thalassostatic ones. The thalassostatic ones are found to the height of 145-l50m level at 20-30m intervals. These vertical distribution is caused by the continuous uplift and periodical rise and fall of the sea-level. The high higher surfaces among the thalassostatic ones are the highest among those of Korea. The chronologies of the terraces are correlated to the marine oxygen isotope stages : The thalassostatic terraces on the level of 40 m.a.s.l. are to the stage 7, 70 m.a.s.l.. to the stage 9, 90 m.a.s.l. to the stage 9, 110 m.a.s.1. to the stage 11 and those of 150 m.a.s.1. to the stage 15 among the Interglacial Ages. The landuses and geomorphic landscapes of the Samchok area are chracteristic, because the karst landforms, such as doline and uvala, are developed on the surfaces of the middle-, the higher- and the high higher surfaces of river terrace.

키워드

참고문헌

  1. 권혁재, 2001, 지형학, 법문사
  2. 김동이, 1993, 영덕 오십천 하안의 단구지형 발달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주용$\cdot$이동영$\cdot$최성길, 1998, '플라이스토신 층서 연구' 제 4기학회지, 12, 77-87
  4. 박용안$\cdot$공우석 외, 2001, 우리나라 제 4기의 지형과 환경, 서울대학교 출판부
  5. 박희두, 1989, 남한강 중$\cdot$상류 분지의 지형연구-퇴적물 분석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서무송, 1969, 한국의 KARST 지형, 한국종합기술 개발공사
  7. 송언근, 1993, 한반도 중$\cdot$남부 지역의 감입곡류 지형발달,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손명원, 1993, 낙동강 상류와 왕피천의 하안단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임창주, 1989, 남한강의 하안단구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오건환, 1981, '한반도의 해성단구와 제4기의 지각 변동' 부산여자대학교 논문집, 9, 377-415
  11. 윤순옥$\cdot$조화룡, 1996, '제4기 후기 영양분지의 자연환경 변화' 대한지리학회지, 31(3), 447-468
  12. 윤순옥$\cdot$황상일, 2000, '한국 남동해안 해안단구의 지형형성 mechanism', 대한지리학회지, 35(1), 17-38
  13. 윤순옥. 이광률, 2000, '홍천강 중 . 하류부 하안단구 지형발달' 대한지리학회지, 35(2), 189-205
  14. 최성길, 1991, '한국 동해안 냉천 하구부의 해면변 동단구와 영일만 북안의 해성단구' 지리학 논집, 17(1), 61-73
  15. 최성길, 1996, '한반도 중부 동해안 저위해성단구의 대비와 편년' 대한지리학회지, 30(2), 103-119
  16. 황상일$\cdot$윤순옥, 1996, '한국 동해안 영덕 금곡지역 해안단구의 퇴적물 특성과 지형발달' 한국 지형학회지, 3(2), 99-114
  17. 崔成吉, 1998, 韓半島東海岸にぉける後期更新世段 丘地形の發達過程と 最終間水期の海水準, 東 北大學 大學院 博士學位論文
  18. Chang, Ho, 1986, Geomorphic Development of Intermontane Basins in Korea, Ph. D. Dissertation, Tsukuba University, p. 118
  19. Kim, J.Y, 1990, Quaternary stratigraphy of the Terrace Gravel Sequences in the Pohang Area(Korea),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20. Kim, S.W., 1973, A Study on the terraces along the Southeastern Coast(Bangeogin-Pohang) of the Korean Peninsula, The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Korea, 9(2), 89-121
  21. Lee, D.Y., 1987, Stratigraphical research of the quaternary deposition in the Korean Peninsula,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1(1), 3-20
  22. Lowe, J.J. and Walker, M.J.C., 1997, Reconstructing Quaternary Environments(2nd ed.), Longman, Hong K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