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PIN PERIODS ESTIMATION OF GEOSTATIONARY SPIN-STABILIZED SATELLITES

정지궤도 회전안정화 위성의 자전주기 추정

  • 이동규 (경희대학교 우주과학과 인공위성관측팀) ;
  • 김상준 (경희대학교 우주과학과 인공위성관측팀) ;
  • 박준성 (경희대학교 우주과학과 인공위성관측팀) ;
  • 한원용 (한국천문연구원)
  • Published : 2002.03.01

Abstract

Optical observations of Geostationary and Molynia orbit spin-stabilized satellites over the Korean peninsula have been carried out at the Kyung Hee University Observatory with a 30 inch telescope. We have observed 5 spin-stabilized satellites, and obtained 0spin periods, which can be used for deducing a design for each bus model. Verifications of spin periods of 3 known satellites from manufacturer, and observations of 2 unknown satellites were made. The difference between known spin periods and observed spin periods is 0.06sec on the average and the difference of those spin rates is 3.3rpm on the average. Those results indicate that spin periods and spin rates of observed geostationary spin-stabilized satellites are within operating limits. Spin rates of unknown satellites, Fengyun 2B and Molynia 1-87 are 89.3rpm, 78.4rpm earh. It is suggested that the research of spin stabilized satellites can be used for the determinations of standard light sources for short period celestial objects and helpful for the constructions of satellite databases with photometric and/or spectroscopic satellite observations.

경희대학교 천문대의 30인치 망원경을 이용하여 한반도 상공에서 관측이 가능하고 현재 운용중인 정지궤도 및 Molynia궤도 회전안정화위성 5기를 대상으로 측광관측을 시도하여 위성체의 버스모델별 자전주기를 알아보았다. 제작사별로 공개된 3기의 회전안정화위성에 대한 자전주기를 지상관측을 통하여 최초로 검증하였고 알려지지 않은 2기의 회전안정화위성에 대해서도 자전주기를 추정하였다. 공개된 자전주기는 ASIASAT 1과 THAICOM 1이 1.09초, JCSAT 2가 1.71초였고 관측결과 얻어진 자전주기는 각각 0.95, 1.06, 1.73rpm 초로 평균 0.06초의 차이를 보였다. 자전율로 환산하면 공개 된 ASIASAT 1과 THAICOM 1이 55rpm, JCSAT 2가 35rpm이고 관측결과로 구한 자전율은 각각 62.9, 56.5, 34.6rpm으로 평 균 3.3rpm의 차이 가 나타났다. 검증결과 정지궤도 회전안정화위성의 자전을 운용에 따른 허용 오차범위인 수 rpm내를 모두 만족하였다 알려지지 않은 Fengyun 2B와 Molynia 1-87 위성의 자전율은 각각 89.3rpm, 78.4rpm으로 관측되었다. 회전안정화위성의 자전주기 연구는 단주기 펄스를 갖는 우주물체에 대한 비교광원 결정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인공위성의 측광 및 분광관측과 더불어 위성 특성별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우주과학회지 v.18 이동규;김상준;한원용;박준성;민상웅
  2. Proceedings of the 2000 Space Control Conference Crawford, L.;Kervin, P.;Nutter, M.;Baker, C.;Sydney, P.;Hoo, V.S.;Hamada, K.;Nishmoto, D.;Susan, E.(ed.)
  3. C-SAT/Software for Telescopic Satellite Observing Dantowitz, R.;Kozubal, M.
  4. Ap&SS v.147 Giles, A.B.;Hill, K.M. https://doi.org/10.1007/BF00645681
  5. IRAF Version 3.0 IRAF programming Group
  6. Technical Report;The results of photoelectric photometry of space objects, ARL MR 71-0007 Kissell, K.E.;Vanderburgh, R.C.
  7. International Society for Optical Engineering v.1951 Lambert, J.V.
  8. Origin Version 6.1 OriginLab Corporation
  9. Satellite Systems Pattan, B.
  10. Adv. Space Res. v.16 Potter, A.E.
  11. CCDSoft Version 5 Software Bisq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