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ontent Development of Regional Learning in Social Studies

社會科에서 地城學習 內容構成의 寶際에 관한 脚究 -連山地方을 사례로 한 내용구성의 scope와 sequence -

  • Published : 2002.06.01

Abstract

In this article, I intended to develop the contents of regional learning in social studies and in geography education. In achieving the goal of regional teaming, we have to investigate three facets, i .e. theoretical, organizational, and practical facet. In particular, practical facet is very important one in that it is directly related to content development. As the criteria of content constitution, I proposed two elements, 'historical-geographical landscape'and 'region-related discourse' which are pertinent to the case region, Yonsan in Chungcheongnam-do, Korea. And then, on the basis of disciplinary results in geography, I developed the scope and sequence of contents by utilizing three lagers of space which are 'habitat space', 'social space', and 'power space', three geographical concepts of 'site→symbolic landscape→territoriality', and three spatial scales of 'local→inter-local →regional one'correspondingly.

이 논문은 사회과교육에 있어 지역학습을 위한 내용구성의 실제를 검토한 것이다. 지역학습의 이상을 실현해나가기 위해서는 이론적 측면. 제도적 측면, 그리고 실천과정이 요구된다고 할 때, 현 시점에서 가장 요구되면서도 연구가 미약한 부분이 실천과정에 관한 부분에 있다고 보았다. 지역학습 내용선정의 준거는 해당 지역에 적합하도록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설정해야함을 염두에 두면서, 이 글의 사례의 경우에는 '역사지리적 경관'과 '지역관련 담론'을 준거로서 거론하였다. 그 다음, 사례 지역에 관한 학문적 연구성과에 바탕하여 그 공간적 누층성을 '삶의 공간' [생태적 공간], '사회적 공간', '권력공간'으로 간주한 후, 지역학습을 위한 실제 내용구성의 스코프(scope)와 시퀀스(sequence)를 구성하여 보았다. 이러한 스코프와 시퀀스를 구현하기 위해서 '사이트(site)$\longrightarrow$상징경관$\longrightarrow$영역성'이라는 하위 개념들을 중심으로 학습내용을 전개할 수 있었고, 이들에 상응하면서 공간적 스케일은 'local$\longrightarrow$inter-local$\longrightarrow$regional'로 확대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제7차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정책토론회 2000年代 敎育課程을 위한 개혁의 방향 곽병선
  2.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지역인식논리와 지역지리교육의 내용 구성에 관한 연구 권정화
  3. 한국교원대 박사학위논문 지역화논리에 따른 한국 사회과교육 과정의 분석 권혁풍
  4. 사회과교육 v.27 周邊學習을 통한 세계학습의 가능성 탐색 김영석
  5. 사회과교육 v.19 사회과 교육과정 地域化 방안의 배경과 접근법 김용만
  6. 지리학의 과제와 접근 방법(석천 이찬 박사 회갑기념 논집) 地誌 敎育의 제문제 김일기
  7. 고대교육신보 지역교과서 편찬의 필요성과 전망: 획일적 교육의 한계 극복을 위한 도구로 남상준
  8. 충북사회과교육 v.2 사회과 지역교과서의 비판적 검토 남상준
  9. 지리교육의 탐구 남상준
  10. 대한지리학회지 v.36 no.4 지역학습에 있어서 민족정체성과 지역정체성의 관계: 제주도 지역교과서 분석을 사례로 남호엽;김일기
  11. 대한지리학회지 v.34 no.1 경관과 기호 표상을 활용한 지역학습 박승규;심광택
  12. 사회과교육 v.20 국민학교 지역사회학습의 意義와 유형에 관한 고찰 서재천
  13. 사회과교육 v.19 경남지역의 사회과교육 지역화방안 이양우
  14.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5 no.2 地域正體性 연구와 지역신문의 활용 이영민
  15. 역사와 역사교육 v.3;4 한국 鄕土史 교육의 현황과 과제 이해준
  16. 새교육 v.48 교육과정 地域化의 의의 인정옥
  17. 사회과교육연구 v.4 Mikhail Bakhtin의 dialogism: 社會科敎育에 대한 그 含意 전종한
  18. 지리과교육 v.3 地理敎育에서 村落이 갖는 의미 전종한
  19. 한국교원대 박사학위논문 宗族集團의 居住地 移動과 地域化過程: 14~19세기를 중심으로 전종한
  20. 지리학연구 v.18 地域化敎育과 그 방안에 관한 연구 조남강
  21. 지리환경교육 v.5 no.1 日本의 지역학습에 관한 고찰 조성욱
  22. 한국교원대 박사학위논문 지역지리 내용 구성과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최홍규
  23.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지역지리학습에 있어서 음악작품의 활용 황홍섭
  24. 社會科敎育と地域學習の構想 朝倉隆太郎先生退官紀念會
  25. 敎育科學/社會科敎育 地域學習と社會的問題の敎材化 伊東亮三
  26. Children's experience of place Hart, R.
  27. The Geographical Journal v.161 no.3 Culture, environmental experience and environmental awareness: making sense of young Kenyan children's views of place Matthews M. H. https://doi.org/10.2307/3059833
  28. Annales of the AAG v.74 Place as historically contingent process: structuration and the time-geography fo becoming places Pred,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