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종과 동반한 석회화 치성낭

CALCIFYING ODONTOGENIC CYST ASSOCIATED WITH COMPLEX ODONTOMA

  • 윤정훈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병리학교실) ;
  • 김수관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 이창섭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이상호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Yoon, Jung-Hoon (Department of Oral Patholog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Kim, Su-Gwan (Department of Oral & Maxillofacial Surge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Lee, Chang-Seop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Lee, Sang-H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발행 : 2002.08.31

초록

석회화 치성낭은 하나의 독립된 유형의 치성 병소로 인정하고 있지만, 조직학적 소견이 다양하고 분류 체계도 학자들마다 다르다. 또한 석회화 치성낭의 피복상피는 인접한 결합조직에 치성조직을 유도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어 다른 치성 종양과 흔히 동반하여 발생한다. 이 증례는 5세 여아의 상악 전치부에 발생한 치아종을 동반한 석회화 치성낭으로, 매복된 상악 좌측 중절치 및 측절치 치관 주위로 경계가 잘 된 방사선 투과성 병소와 다발성의 방사성 불투과성 석회화 물질이 혼재된 병소였다. 병리조직학적으로 피복상피는 법랑모세포와 유사하였고 상피 내에 유령세포의 군집이 관찰되었다. 석회화된 종괴는 일부 잔존한 범랑기질이 상아질로 둘러싸여 있었고, 퇴축 법랑상피 및 유령세포의 군집이 관찰되어 복잡 치아종이 동반된 석회화 치성낭으로 진단하였다. 이 증례에서와 같이 소아에서도 매복치와 동반하여 방사선 투과 및 불투과상의 혼합 병소가 관찰되면 석회화 치성낭의 가능성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할 필요가 있다. 환자는 수술 1년이 경과한 현재까지 재발의 소견은 없었고, 현재 혼합치열기의 간격조절을 시행 받고 있는 중이다.

The calcifying odontogenic cyst(COC) showed diverse terminology or classification, clinicopathologic features as well as in its biologic behavior, although it was recognized as a distinct clinicopathologic entity. The epithelial lining of a COC appears to have the ability to induce the formation of dental tissues in the adjacent connective tissue wall, and that other odontogenic tumors may sometimes be associated with it. This case is a COC associated with a complex odontoma involving an impacted left maxillary lateral incisor in a 5-year-old female child. Radiographic examination revealed a well-demarcated radiolucent lesion partially occupied by a radiopaque mass, involving the left lateral incisor crown. The histologic sections showed a cystic cavity lined with ameloblastic epithelium containing ghost cell masses with admixed with complex odontoma components. The presence of mixed radiolucent-radiopaque lesion in children as observed in this case, the possibility of COC must be considered. In this case, there was no recurrence 1 year after enucleation and the space control is ongoing now.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