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ant Cell Tumor of Tendon Sheath in Hand

수부에서 발생한 건초의 거대 세포종

  • Kang, Ho-Jung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Kim, Kee-Hak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Shin, Kyoo-Ho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Hahn, Soo-Bong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Kang, Eung-Shick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강호정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교실) ;
  • 김기학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교실) ;
  • 신규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교실) ;
  • 한수봉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교실) ;
  • 강응식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교실)
  • Published : 2001.03.30

Abstract

Purpose : The giant cell tumor of tendon sheath is the second most common tumor of the hand, but recurred frequently although excision was performed. Authors analyzed and would report clinical findings and postoperative results of it. Materials and Methods : Between January 1991 and December 1998, 38 patients, 41 cases which the authors had performed excisional biopsy to the mass in the hand and diagnosed with the giant cell tumor of tendon sheath, was analyzed with age, sex, chief complaint, symptom duration, involved finger, involved tendon, frequently developed site in fingers, size, multiplicity, radiologic findings and recurrence. The mean duration of follow-up was 13.1 months (5~40 months). Results : Of 38 patients, twenty-nine were female. It is frequent in the fourth decade and mean age was 40.1 years old. The neurological compression symptom was found in 5 cases. The mean duration of symptom was 23.4 months. Flexor tendon was involved in 24 cases. The distal interphalangeal joint area in digit was involved most frequently in 20 cases. Index finger was the most common involved finger (14 cases), and long finger was the second most common (9 cases). All tumors were unilateral. The majority of patients had solitary lesion but one case had multiple lesion. In the radiologic findings, erosion or pressure indentation of bone was seen in 3 cases. All patients were operated by marginal excision. Recurrence rate was 5.1%. Conclusion : The risk factors in giant cell tumor of tendon sheath were female, forth decade, index finger, flexor tendon, and distal interphalangeal joint area. The recurrence was increased in marginal excision of recurred cases, in cases with multiple developed lesions or in multilobular lesion, so wide surgical excision is necessary to prevent recurrence.

목적 : 건초에서 생긴 거대세포종은 수부에서 발생하는 종양 중 두 번째로 흔하나 절제술 후에 재발이 드물지 않으며 국내에서의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완관절부를 포함한 수부에 생기는 건초의 거대세포종의 임상적 특성과 수술적 치료후 결과를 분석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1년부터 1998년까지 수부에서 발생한 종물로 절제생검술을 시행받은 환자 중 조직병리학적으로 건초의 거대세포종으로 진단받은 총 38명, 41예에 대해 성별, 나이, 증상, 증상발현기, 종양이 발생한 부위, 발생한 건, 크기, 다발성 여부, 양측성 여부, 방사선학적 소견 및 골 침범, 재발여부 등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추시기간은 평균 13.1개월(5~40개월)이었다. 결과 : 38명 중 여자에서 29명으로 빈발하였고, 발생연령은 6세에서 66세까지 다양하였으나 50대에서 12례로 가장 호발하였으며 평균연령은 40.1세였다. 지배수지와 비지배수지의 발생경향은 비슷하였고(17례:21례), 모두 일측성이었다. 신전건(17례)보다 굴곡건(24례)에서 더 호발하였으며 증상발현기는 2개월에서 120개월(평균 23.4개월)이었다. 증상으로 대부분 무통성 종물을 호소하였으나, 5례에서 압통, 36례에서 운동장애, 5례에서 압박에 의한 신경증상을 호소하기도 하였다. 재발을 주소로 내원한 경우가 3례였다. 부위별 발생빈도는 수지에서 36례, 수장부에서 3례, 완관절부위 장측에서 2례 순으로 빈발하였으며, 수지별 발생빈도는 인지에서 14례(34%)로 가장 많았고, 엄지가 10례(24%), 중지는 9례, 환지는 5례, 소지는 3례의 빈도순을 보였다. 수지상 발생부위는 원위지골간 관절부 및 중위지골부에서 20례(48.8%), 근위지골 및 근위지골간 관절부가 9례, 중수지절관절부가 7례 순으로 호발하였다. 방사선학적 소견상 연부조직에 방사선 비투과적인 균일한 연부조직 음영을 보이고 있었고 3명에서 피질골 미란을 보였다. 37명에서 종양은 단발성 병변이었으나 이 중 4명에서 다엽상으로 넓게 분포하였고, 1명에서 다발성 병변을 보였다. 변연부 절제술후 재발된 경우가 2명으로 재발율은 5.1%였다. 결론 : 수부에서 발생한 건초의 거대 세포종은 호발조건으로 50대, 여성, 인지, 굴곡건, 수지 원위부를 추정해 볼 수 있었으며, 불완전한 변연부 절제술을 시행하거나, 수술 후 재발한 경우, 다발성, 다엽상 소견을 보인 경우 재발이 잘 되므로 이 경우 광범위 절제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