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ole of Bronchoscopy for the Staging in Patient with Peripheral Lung Cancer

말초형 폐암 환자에 있어서 병기판정을 위한 기관지 내시경검사의 필요성

  • Baek, Seung-Mi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Fatima General Hospital) ;
  • Sea, Hyang-Eu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Fatima General Hospital) ;
  • Kim, Se-Hwa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Fatima General Hospital) ;
  • Kim, Seong-Ky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Fatima General Hospital) ;
  • Kim, Yean-Ja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Fatima General Hospital) ;
  • Lee, Byung-Ki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Fatima General Hospital) ;
  • Kim, Won-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Fatima General Hospital) ;
  • Park, Jae-Ya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Jung, Tae-H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백승민 (대구 파티마병원 내과) ;
  • 서향은 (대구 파티마병원 내과) ;
  • 김성규 (대구 파티마병원 내과) ;
  • 김세환 (대구 파티마병원 내과) ;
  • 김연재 (대구 파티마병원 내과) ;
  • 이병기 (대구 파티마병원 내과) ;
  • 김원호 (대구 파티마병원 내과) ;
  • 박채용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정태훈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2001.08.30

Abstract

Background : Bronchoscopy has been widely used for a histologic diagnosis through a transbronchial lung biopsy or for staging of patients with peripheral lung cancer. However a transthoracic needle aspiration (TTNA) has been used more widely for a histologic diagnosis in patient with a small size nodule or a nodule located in the outer portion of the lung because of the low diagnostic yield of bronchoscopy in these cases. The role of bronchoscopy for staging is not well established in patients with peripheral lung cancer diagnosed by a TTNA or patients who are undergoing surgery without a histologic diagnosis. Method: To evaluate the role of bronchoscopy for the staging in patients with peripheral lung cancer, who were diagnosed by TTNA, the medical records of 86 patients with peripheral lung cancer who underwent bronchoscopy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1995 and May 1997 were reviewed. Results : While 53 cases had normal bronchoscopic findings, 33 cases had abnormal bronchoscopic findings comprising 9 cases of tumor, 10 cases of infiltration and 14 cases of compression of which there were 25 cases of T1 and 8 T2 endoscopically. The bronchoscopic staging did not influence the changes of the clinical stage of lung cancer. The frequencies of bronchial involvement tended to increase as the sizes of the nodule increased. Among the 42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9 patients staged higher after operation because of lymph node involvement in 8 patients and the involvement of the pulmonary artery in 1 patient. No case staged above after operation due to a bronchial invasion. Conclusion : These findings suggests that bronchoscopy is not useful for staging in patients with peripheral lung cancer diagnosed by a TTNA.

연구배경 : 고립성 폐결절 환자에 있어서 기관지 내시경검사는 기관지내 잠재병변을 발견하거나 경기관지폐생검을 통한 조직학적인 진단과 폐암의 병기판정 목적으로 널리 시행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결절의 크기가 작은 경우 혹은 결절이 폐야의 외측 및 폐문부에 위치할 경우에는 기관지 내시경으로 진단율이 낮기 때문에 조직학적인 진단을 위해 경피적 폐침흡인생검이 흔히 시도되어지고 있다. 이와같이 경피적 폐침흡인생검을 통하여 말초형 폐암으로 진단된 경우 흑은 조직학적인 진단없이 수술을 시행할 예정인 말초형 폐병변을 가진 환자에 있어서 병기판정을 위한 기관지 내시경검사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자세한 연구가 되어 있지 않다. 방 법 : 경피적 폐침흡인생검애 의하여 말초형 폐암으호 진단된 환자에서 병기판정을 위한 기관지 내시경검사의 필요성을 알아보고자 1995년 1월부터 1997년 5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호흡기내과에 내원한 환자가운데 말초형 결절 혹은 종피가 있었던 환자에서 폐암으로 진단된 86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1) 남자 69예, 여자 17예였으며 평균연령은 61세였다. 폐암의 세포형은 편평상피암 40예(46.5%), 선암 38예(44.2%), 대세포암 4예(4.7%), 소세포암 3예(3.5%), 점액상피암 1예(1.2%)였다. 2) 종괴의 크기는 직경이 2cm미만이 4예(4.7%), 2-3cm가 8예(9.3%), 3-4cm가 23예(26.7%), 4-6cm가 51예(59.3%)였다. 3) 기관지 내시경소견은 정상이 53예(61.6%), 종괴 9예(10.6%), 비특이적 침윤 10예(11.7%), 압박 14예(16.4%)로 33예(48.4%)에서 기관지내 병변이 있었다. 기관지내 병변은 $T_1$이 25예, $T_2$가 8예 였으며, 기관지내 병변으로 인한 폐암의 병기변화는 없었다. 4) 기관지내 병변은 종괴의 크기가 2-3cm인 경우 8예 가운데 1예(9.3%), 3-4cm인 경우는 23예 가운데 8예(26.7%), 그리고 4cm이상인 경우는 51예 가운데 24예(59.3%)에서 있었다. 5) 수술을 시행한 42예 가운데 9예에서 술후 병기의 변화가 있었으며 8예는 폐내 및 종격동의 임파절 전이로, 1예는 폐동맥침습으로 병기가 증가되었으나 기관지침범으로 인한 병기의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결과로 경피적 폐침흡인생검에 의하여 말초형 폐암으로 진단된 환자에서 병기판정을 위한 기관지 내시경검사는 재고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