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안면 3차원 계측시 컴퓨터 단층촬영과 두부 방사선 규격사진의 정확성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Accuracy between Computerized Tomography and Cephalogram for 3-Dimensional Measurement of Maxillofacial Structure

  • 백종수 (영남대학교 외과대학 치과학교실) ;
  • 송재철 (영남대학교 외과대학 치과학교실) ;
  • 이희경 (영남대학교 외과대학 치과학교실)
  • Paek, Jong-Su (Department of Dentistr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Song, Jae-Chul (Department of Dentistr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Lee, Hee-Kyung (Department of Dentistr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발행 : 2001.06.30

초록

6개의 건조두개골상의 중요한 방사선학적 계측점에 금속구를 위치시킨 후 3-D CT와 정모 및 측모 두부 방사선사진을 촬영하고 이를 바탕으로 만든 각각의 3차원 영상과 3차원 두부 방사선사진상의 각 계측점들이 3차원적으로 어느 정도의 정확성을 가지고 재현되는지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두 방법에 있어서의 계측점간의 거리계측을 실계측과 비교분석 함으로써 악안면부에서의 재현성과 정확성을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3-D CT와 3차원 두부 방사선사진상의 계측점들은 반복 계측시 각각 X축 방향으로 0.23 mm와 0.30 mm, Y축 방향으로 0.27 mm와 0.25 mm, 그리고 Z축 방향으로 0.27 mm와 0.31 mm의 표준편차를 보였다. 두 방법에서 모든 계측점이 0.5 mm 이하의 표준편차를 보였으며, 대부분의 계측점이 1 mm 이하의 범위를 보인 바, 두 방법 모두 통일한 건조두개골상의 계측점의 3차원적 위치 편차가 거의 없었다. 모든 계측항목에서 실측치와 3-D CT간의 차이는 평균 0.33 mm였으며, 실측치와 3차원 두부 방사선사진간의 차이는 평균 1.13 mm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가장 큰 차이를 보인 항목은 RGo과 LGo간으로 2.03 mm의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두 방법 모두 모든 항목에서 실측치와 통계적으로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gamma}=0.976{\sim}1.000$, p<0.01).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measurements obtained from 3-dimensional computerized tomography and 3-dimensional cephalogram constructed by using the frontal and lateral cephalogram of six human dry skulls. Materials and Methods: After CT scans and each cephalograms were taken, 3-dimensional coordinates (X, Y, Z) of landmarks were obtained using computer programs. In this study, the accuracy of both methods were determined by means of 14 linear measurements compare with caliper measurements. Results: The standard deviation of landmarks of 3-dimensional CT and 3-dimensional cephalogram were 0.23 mm, and 0.30 mm in X axis, 0.27 mm and 0.25 mm in Y axis, and 0.27 mm and 0.31 mm in Z axis. In both methods, the standard deviation were less than 0.5 mm in all landmarks, and the most of landmarks showed less than 1 mm in range. Concerning the accuracy, the mean difference between 3-dimensional CT and manual measurements was 0.33 mm, and 1.13 mm between 3-dimensional cephalogram and manual measurements. The distance between RGo and LGo showed the largest difference (2.03 mm). There were highly significant, and large correlation with manual measurements in both methods (p<0.01). Conclusion: It is concluded that closeness of repeated measures to each skulls reveal the precision of both methods. Computerized tomography and cephalogram for 3-dimensional measurement of maxillofacial structure are equivalent in quality to caliper measurement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