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dimensional cephalogram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2초

악안면 3차원 계측시 컴퓨터 단층촬영과 두부 방사선 규격사진의 정확성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Accuracy between Computerized Tomography and Cephalogram for 3-Dimensional Measurement of Maxillofacial Structure)

  • 백종수;송재철;이희경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8권1호
    • /
    • pp.123-137
    • /
    • 2001
  • 6개의 건조두개골상의 중요한 방사선학적 계측점에 금속구를 위치시킨 후 3-D CT와 정모 및 측모 두부 방사선사진을 촬영하고 이를 바탕으로 만든 각각의 3차원 영상과 3차원 두부 방사선사진상의 각 계측점들이 3차원적으로 어느 정도의 정확성을 가지고 재현되는지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두 방법에 있어서의 계측점간의 거리계측을 실계측과 비교분석 함으로써 악안면부에서의 재현성과 정확성을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3-D CT와 3차원 두부 방사선사진상의 계측점들은 반복 계측시 각각 X축 방향으로 0.23 mm와 0.30 mm, Y축 방향으로 0.27 mm와 0.25 mm, 그리고 Z축 방향으로 0.27 mm와 0.31 mm의 표준편차를 보였다. 두 방법에서 모든 계측점이 0.5 mm 이하의 표준편차를 보였으며, 대부분의 계측점이 1 mm 이하의 범위를 보인 바, 두 방법 모두 통일한 건조두개골상의 계측점의 3차원적 위치 편차가 거의 없었다. 모든 계측항목에서 실측치와 3-D CT간의 차이는 평균 0.33 mm였으며, 실측치와 3차원 두부 방사선사진간의 차이는 평균 1.13 mm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가장 큰 차이를 보인 항목은 RGo과 LGo간으로 2.03 mm의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두 방법 모두 모든 항목에서 실측치와 통계적으로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gamma}=0.976{\sim}1.000$, p<0.01).

  • PDF

3차원 두부방사선 규격사진 구현시 컴퓨터를 이용한 두부위치의 보정방법에 관한 연구

  • 최광철;김경호;김인달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36권2호통권345호
    • /
    • pp.135-143
    • /
    • 1998
  • Cephalogram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ool in researching growth and development of craniofacial area, orthodontic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But its inherent distortion of actual length and angles during projecting three dimensional object to two dimensional plane might cause errors in quantitative analysis of shape and size. three dimensional high quality images can be obtained using computerized tomogram and have reported in literatures. Considering its expenses and amount of exposure to radiation, limitations still remain to be solved in its application to routine practice. construction of three dimensional image using principle of orientator can be obtained by biplanar stereoradiography. Theoretically two images, lateral and P-A can be used to construct three dimensional image provided that those are taken at same time by two different focal spots. As two images(lateral and P-A) obtained by conventional cephalogram have different head posture, those need compensation to construct three dimensional images. This study introduced principle of computerized head posture compensation and showed that conventional cephalogram could be used to construct three dimensional image and could be applied to routine orthodontic practice.

  • PDF

교정에서의 정모 두부 방사선 규격 사진의 이용 (THE USE OF POSTEROANTERIOR CEPHALOGRAM IN ORTHODONTICS)

  • 김영준;유영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65-175
    • /
    • 1989
  • 두개 안면부 내의 임의 부위를 평가시 정모두부 방사선 규격 사진과 측방 두부 방사선 규격 사진을 동시에 적절히 사용할시에는 3차원적 공간 개념을 인지함으로서 대상의 정확한 존재와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최근 교정학 분야에 있어서 점차 그 중요성과 사용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정모 두부 방사선 규격 사진의 용도는 다음과 같다. 1. 교정 치료시 진단 및 치료 계획 과정에서의 이용 (1) 두부 안면부에서의 비대칭 부위와 양의 인지 (2) 교정 치료의 진단과 치료를 위한 therapeutic position의 평가 2. 교정 치료 mechanics의 성공 여부 평가 이같은 정모 두부 방사선 규격 사진을 측방두부 방사선 규격 사진과 등시에 적절히 사용 함으로서 정확한 진단과 그에 합당한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 PDF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로 합성된 두부규격 방사선사진에서의 각 계측점의 정확도와 재현성에 관한 연구 (Accuracy and reproducibility of landmark of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CT) synthesized cephalograms)

  • 권대근;민승기;전인철;팽준영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6권2호
    • /
    • pp.78-86
    • /
    • 2010
  • Introduction: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has various advantages and is used favorably in many fields in dentistry. Especially, CBCT is being used as basic diagnostic tool for 3-dimensional analysis in orthognathic patient. Two-dimensional cephalograms can be synthesized from CBCT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DICOM) data. In this study, conventional cephalograms and CBCT were taken simultaneously, and representative landmarks were located and analyzed in its accuracy and reproducibility. Materials and Methods: Ten patients who had orthognathic surgery in Wonkwang University Daejeon Dental Hospital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each patient, CBCT and conventional cephalogram was taken. By using Ondemand (Cybermad, Korea), 2-dimensional cephalograms was established on CBCT. In addition, 19 landmarks were designated and measured by 3 orthodontists twice a week. After these landmarks were transferred to a coordinate, distance of landmark and axis, standard error, distribution degree were measured, compared and analyzed. Results: Comparing the CT ceph group and conventional cephalogram group, CT ceph group had shown shorter distance of landmark and axis in S, Hinge axis, Bpt, Ba, Or, Corpus left. Standard error of the mean shows that CT ceph group has better reproducibility in Or, Corpus left, Hinge axis at X axis and Na, U1R, U1T, Bpt, PNS, Ba Corpus left, Hinge axis at Y axis. In both groups, mean error was less than 1.00 mm, no significant difference were found between CT ceph group and conventional cephalogram group in all measurements. Furthermore, comparing two groups, each 17 landmarks out of 19 had its characteristic in distribution degree. Conclusion: No significant difference were found between CBCT composed cephalographic radiograph and conventional cephalograghic radiograph, clinical application may be possible if improved.

악교정수술 환자에서 교합기 석고 모형과 측면두부방사선사진의 교합평면에 관한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STUDY FOR OCCLUSAL PLANE BETWEEN ARTICULATED CAST MODEL AND CEPHALOGRAM IN ORTHOGANTIHIC SURGERY PATIENTS)

  • 서경숙;박미화;이주현;김철환;채종문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9권4호
    • /
    • pp.239-244
    • /
    • 2003
  • The common errors in preoperative treatment plan for the orthognathic surgery can be occurred during cast impression, cast mounting procedure with face-bow transfer, surgical stent fabrication, and so on. One of the most common errors exists during mounting process of the model on the articulator. Accurate mounting of dental casts to articulator should be achieved by transferring the 3-dimensional spatial relationship of the maxillary arch to an articulator. A face-bow is used for transfer this relationship to articulator, usually by relating the face-bow to a plane of reference of maxillary ca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valuation of the accuracy of face-bow transferring of maxillary model to the articulator. The maxillary casts of thirty patients for orthognathic surgery were mounted on articulator with an face-bow instrument. The relationship of occlusal plane angle to Frankfort horizontal plane relations were compared the cephalogram with the cast-mounted articulator.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axillary occlusal planes angle in the cephalogram and articulator were found. The results were followed, 1. The mean occlusal plane angle in cast-mounted articulator was $13.5^{\circ}\;(SD{\pm}5.4)$. 2. The mean occlusal plane angle in cephalogram was $10.4^{\circ}\;(SD{\pm}4.3)$. 3. The mean difference of occlusal plane angle between cast-mounted articulator and cephalogram was $3.3^{\circ}\;(SD{\pm}4.6)$. According to the result, we should suggest that the occlusal plane angle to Frankfort plane in cast-mounted articulator is more steeper than that of cephalogram. And then, maxillofacial surgeon should try to get a more predictable result by suggesting the proper correction method and mounting the cast accurately.

두부 방사선 규격사진을 이용한 악안면 구조의 3차원적 분석법 (THREE DIMENSIONAL ANALYSIS OF MAXILLOFACIAL STRUCTURE BY FRONTAL AND LATERAL CEPHALOGRAM)

  • 권귀영;이상한;권대근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1권2호
    • /
    • pp.174-188
    • /
    • 1999
  •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두부 계측 방사선기기를 이용하여 12개 건조 두개골의 중요한 방사선학적 계측점에 금속구를 위치시킨 후 정모와 측모 두부 방사선사진상을 촬영하고, 이를 바탕으로 얻어진 3차원 두부 방사선사진이 어느 정도의 정확도와 정밀도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 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입체 영상을 얻을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실제 두명의 악변형증 환자에게 적용시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Nasion relator 를 이용하여 두부위치를 고정한 상태에서 각각 촬영된 정모와 측모 두부 방사선사진으로 3차원 두부 방사선사진을 작성해 본 결과, 촬영시 두부의 위치적 변화에 따른 계측치의 차이는 $0.34{\pm}0.33mm$로 나타나 위치적 변화는 거의 없었다. 즉 동일한 두개골에 대한 3차원 계측치의 x, y, z 축상의 위치 편차가 거의 없었다. 2. 실계측치와 3차원 계측치의 차이는 평균 $1.47{\pm}1.45mm$ 크게 나타났으며 실측치에 대한 3차원 계측치의 확대율은 $100.24{\pm}4.68%$였으며, 차이가 평균보다 크게 나타난 일부 항목의 경우 측모 두부 방사선사진에서 정확한 위치를 잡아내기 어려웠던 계측점이 많았다. 즉, 3차원 계측거리가 실측치와 차이를 보이는 것은 방사선 사진촬영시 위치의 재현성과 관련된 것이라기 보다는 계측점의 식별이 더 크게 좌우된 것으로 보여진다. 3 정모와 측모 두부 방사선사진의 경우 필름과 평행한 시상면에 놓이지 않은 계측항목의 축소가 두드러졌으며 건조 두개골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필름간의 거리가 상이하였기 때문에 수평적, 수직적 확대율의 일관된 경향을 발견할 수 없었다. 실측치와의 차이는 정모 두부 방사선 사진이 $4.72{\pm}2.01mm$, 측모 두부 방사선사진이 $-5.22{\pm}3.36mm$로 나타났으며 수평 계측치보다 수직 계측치가 약간 더 실측치에 근접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4. 실제 악교정수술 환자에게 적용해 본 결과, 계측항목의 수치적 분석보다는 악골자체의 이동량이나 변화의 정도, 비대칭의 분석등에 사용하는 것이 임상적으로 더 의의가 있으며 교정환자의 경우 정모와 측모 모두에서 명확히 나타나는 브라켓을 계측 기준점으로 할 경우 보다 정확한 계측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삼차원 전산화단층촬영사진과 측모두부 방사선규격사진의 계측자에 따른 계측오차에 대한 비교분석 (Comparison of the observer reliability of cranial anatomic landmarks based on cephalometric radiograph and three-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scans)

  • 김재영;이동근;이상한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6권4호
    • /
    • pp.262-269
    • /
    • 2010
  • Introduction: Accurate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are very important for orthognathic surgery. A small error in diagnosis can cause postoperative functional and esthetic problems. Pre-existing 2-dimensional (D) chephalogram analysis has a high likelihood of error due to its intrinsic and extrinsic problems. A cephalogram can also be inaccurate due to the limited anatomic points, superimposition of the image, and the considerable time and effort required. Recently, an improvement in technology and popularization of computed tomography (CT) provides patients with 3-D computer based cephalometric analysis, which complements traditional analysis in many ways. However, the results are affected by the experience and the subject of the investigator. Materials and Methods: The effects of the sources human error in 2-D cephalogram analysis and 3-D computerized tomography cephalometric analysis were compared using Simplant CMF program. From 2008 Jan to 2009 June, patients who had undergone CT, cephalo AP, lat were investigated. Results: 1. In the 3 D and 2 D images, 10 out of 93 variables (10.4%) and 11 out 44 variables (25%), respectivel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2. Landmarks tha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2 D image were the points frequently superimposed anatomically. 3. Go Po Orb landmarks, 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3 D images, were found to be the artificial points for analysis in the 2 D image, and in the current definition, these points cannot be used for reproducibility in the 3 D image. Conclusion: Generally, 3-D CT images provide more precise identification of the traditional cephalometric landmark. Greater variability of certain landmarks in the mediolateral direction is probably related to the inadequate definition of the landmarks in the third dimension.

정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 하악골 우각부 영상확대 및 이의 보정에 관한 3차원 CT영상 연구 (Three-dimensional CT image study on the correction of gonial angle width enlarged on frontal cephalogram)

  • 황현식;은춘선;황정현;임회정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51-261
    • /
    • 2005
  • 두부방사선규격사진은 작은 크기의 방사선원에서 방사상으로 방사선이 퍼져나감으로써 피사체의 확대와 왜곡이 불가피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는 두 장의 방사선사진을 서로 직각으로 촬영한 후 방사선의 기하학적 성질을 이용하여 좌우 우각부간 폭경을 계산할 경우 실제 폭경의 산출이 가능한지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성인 4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두부자세재현기를 이용하여 측모두부방사선사진과 정모두부방사선사진을 서로 직각으로 촬영한 후 측모사진과 정모사진에서의 확대율을 이용하여 실제 우각부 폭경을 산출한 다음 계측치 및 산출치를 3차원 CT영상에서의 계측치와 각각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정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 우각부 폭경은 작게는 7.92mm 크게는 11.31mm까지. 평균 9.10mm의 확대를 보였다. 측모 및 정모두부방사선사진을 이용하여 얻은 우각부 폭경 보정치를 3차원 CT영상에서 얻은 기준치와 비교한 결과 평균 0.14mm의 작은 오차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측모 및 정모두부방사선사진 촬영 시 두부자세재현기를 이용하여 서로 직각으로 촬영할 경우 실제 우각부 폭경을 계산을 통해 산출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편 이부편위량과 보정오차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아 안면비대칭이 심한 경우에도 본 보정 방법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3차원 전산화 단층촬영의 Nasion, Sella, Basion으로 구성된 정중 시상 평면과 정면 두부방사선 규격사진의 정중 시상 평면 비교 (Comparison of midsagittal reference plane in PA cephalogram and 3D CT)

  • 조진형;문지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6-15
    • /
    • 2010
  • 안면 비대칭의 평가에 있어 과거 정면 두부방사선 규격사진을 이용하던 것과는 다르게 현재는 점차 3D CT를 이용하여 평가하는 것으로 변하고 있다. 본 연구는 3D CT와의 비교를 이용하여 정면 두부방사선 규격사진 분석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시상 기준 평면을 찾고자 하였다. 임상적으로 안모 비대칭이 발견되지 않은 성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3D CT와 정면 두부방사선 규격사진을 촬영하였고, 정면 두부방사선 규격사진 분석에서 이용되어 왔던 5가지 정중 시상 기준 평면을 선택하여 계측을 실시한 뒤 이 값을 3D CT의 Nasion (Na), Sella (S), Basion (Ba)으로 구성된 정중 시상 평면에 대한 계측값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좌우측 latero-orbitale의 수직이등분선을 정중 시상 기준 평면으로 이용한 정면 두부방사선 규격사진 계측값이 3D CT의 Na, S, Ba으로 구성된 정중 시상 평면을 이용한 계측값과 가장 차이가 작았고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면 비대칭 평가 시 좌우측 latero-orbitale의 수직이등분선이 정면 두부방사선 규격사진 분석에서 도움이 되는 정중 시상 기준 평면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Accuracy of three-dimensional cephalograms generated using a biplanar imaging system

  • Park, Ha-Yeon;Lee, Jae-Seo;Cho, Jin-Hyoung;Hwang, Hyeon-Shik;Lee, Kyung-Mi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292-303
    • /
    • 2018
  • Objective: Biplanar imaging systems allow for simultaneous acquisition of lateral and frontal cephalogra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measurements recorded on three-dimensional (3D) cephalograms constructed from two-dimensional conventional radiographs and biplanar radiographs generated using a new biplanar imaging system with those recorded on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generated cephalograms in order to evaluate the accuracy of the 3D cephalograms generated using the biplanar imaging system. Methods: Three sets of lateral and frontal radiographs of 15 human dry skulls with prominent facial asymmetry were obtained using conventional radiography, the biplanar imaging system, and CBCT. To minimize errors in the construction of 3D cephalograms, fiducial markers were attached to anatomical landmarks prior to the acquisition of radiographs. Using the 3D $Ceph^{TM}$ program, 3D cephalograms were constructed from the images obtained using the biplanar imaging system (3D $ceph_{biplanar}$), conventional radiography (3D $ceph_{conv}$), and CBCT (3D $ceph_{cbct}$). A total of 34 measurements were obtained compared among the three image sets using paired t-tests and Bland-Altman plotting. Result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3D $ceph_{biplanar}$ and 3D $ceph_{cbct}$ measurements. In addition, with the exception of one measuremen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3D $ceph_{cbct}$ and 3D $ceph_{conv}$ measurements. However, the values obtained from 3D $ceph_{conv}$ showed larger deviations than those obtained from 3D $ceph_{biplanar}$.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new biplanar imaging system enables the construction of accurate 3D cephalograms and could be a useful alternative to conventional radiograp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