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e"> Der velare Nasal im Deutschen : Eine $optimalit\"{a}tstheoretische$ Analyse

독일어에서 연구개 비음: 최적성 이론적 분석

  • Published : 2001.06.01

Abstract

이 논문은 독일어의 연구개비음의 실현을 최적성이론의 관점에서 설명한다. 종래의 규칙이론에서는 파생어 Sprengung, hungrig 등에서 /g/가 두번째 음절의 음절머리 (onset)로 실현되지 않는 이유를 /g/삭제 규칙의 순환적인 적용을 통해 설명한다. 그러나 이 논문은 그 이유가 형태적으로 관련된 두 개의 단어사이의 대응관계에 의한 결과임을 보임으로써 규칙이론의 순환적용이 설명하지 못하는 중요한 사실을 포착한다: 파생어에서 /g/가 탈락되는 경우는 오직 이를 통해 파생어와 그 어기간의 음운적인 유사성이 커질 때만으로 한정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