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연구 과제번호 : 수형조절에 의한 잣나무의 경제 작물화 연구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농림부
간벌과 수형조절이 종자생산량을 증가시키므로 이로 인해 잣 종자의 성분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 각 처리별(간벌목, 무간벌목, 채종목, 1m 단간목 및 2m 단간목)로 종자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벌목과 무간별목의 일반성분(수분, 회분, 조지방 및 조단백질)은 두 처리간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아 간벌이 종자의 성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채종목과 수형조절목(1m 단간목, 2m 단간목)의 일반성분 역시 두 처리간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아 수형조절 또한 종자의 성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간벌목과 무간별목의 지방산 분석은 함유량의 대부분(94% 이상)을 차지하는 Linoleic acid(18:2), Oleic acid(18:1), Palmitic acid(16:0)가 처리간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고, 필수지방산 2종을 모두 함유하고 있어 간벌은 잣 종자의 지방산 함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채종목과 수형조절목의 지방산 역시 함유량의 대부분(93% 이상)을 차지하는 Linoleic acid(18:2), Oleic acid(18:1), Palmitic acid(16:0)가 처리간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며, 필수지방산 2종을 모두 함유하고 있어 수형조절은 잣 종자의 지방산 함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별과 수형조절에 따른 구과 생산량의 증대는 종자의 일반성분과 지방산 함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increased seed production of Korean white pine(Pinus koraiensis S. et Z.), component of seeds, produced from trees in the thinned stand and the stem-pruned trees in the seed orchard, were analyze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General component analysis of seed There is no significant influence of thinning on the seed component in moisture content (thinned- 4.10%, unthinned- 3.74% ), ash (thinned- 2.95%, unthinned- 2.94%), crude lipid (thinned- 67.62%, unthinned- 71.94%), and crude protein (thinned- 17.27%, unthinned- 17.50%). There is no significant influence of stem-pruning on the seed component in moisture content (unpruned- 4.26%, 1m stem-pruned- 4.10%, and 2m stem-pruned- 3.99%), ash (unpruned- 2.08%, 1m stem-pruned- 2.09%, and 2m stem-pruned- 2.15%) crude lipid(unpruned- 68.59%, 1m stem-pruned- 69.52%, and 2m stem-pruned- 72.53%), and crude protein (unpruned- 18.13%, 1m stem-pruned- 17.96%, and 2m stem-pruned- 17.56%) 2. Fatty acid analysis Seeds of tree from thinned and unthinned stands contained two essential fatty acids, i.e., linoleic acid (18:2) (thinned- 54.92%, unthinned- 55.40%) and linolenic acid (18:3) (thinned- 0.19%, and unthinned- 0.23%). Over 94% of fatty acids consisted of linoleic acid (18:2)(55%), oleic acid (18:1) (32%), and palmitic acid (16:0)(7%). T-test showed difference of content at 1% significance level for palmitoleic acid (16:1), stearic acid (18:0) and 8.11, 14-eicosatrienoic acid (20:3) and at 5% for linolenic acid (18:3),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ree major fatty acids mentioned above, between two types of trees. Thus thinning may give no influence in fatty acid content. Seeds of three types of trees contained two essential fatty acids, i.e., linoleic acid (18:2)(unpruned- 55.25%, 1m stem-pruned- 54.74%, and 2m stem-pruned- 55.00%), and linolenic acid (18:3)(0.21% for three kinds of trees). Linoleic acid (18:2)(55%), oleic acid (18:1) (32%), and palmitic acid (16:0)(6%) consisted of more than 93% of all fatty acid content. At 5% significance level in F-tes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content of palmitoleic acid (16:1) and 8.11, 14-eicosatrienoic acid (20:3), but not in three major types of fatty acids above mentioned. It is observed that stem-pruning gave no significant influence in fatty acid content in general.
연구 과제번호 : 수형조절에 의한 잣나무의 경제 작물화 연구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농림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