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soil-air exchange processes of Hg were investigated from the Hari area of Kang Hwa Island during the late March 2001. In the course of our study, we determined the concentration gradients of Hg and combined these gradient data with micrometeorological components to derive its fluxes. Results of our study indicate that the concentration levels of Hg in the study area are notably lower than those typically found in urbanized areas of Korea. However, the computed fluxes were seen to be significantly larger for relatively remote areas, reaching over 200 ng/m$^2$/hr. Comparison of environmental conditions shows that the concentrations of most pollutant species including NO$_X$ and PM were significantly higher during emission, while meteorological conditions were characterized by high temperature and low humidity.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also indicate that such pollutants as hydrocarbons, nitrogen oxides, and PM generally exhibit strong positive correlations with Hg-related parameters during emission events, while such relationships were reversed during dry deposition events. The results of our present study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the concentrations and fluxes of total gaseous Hg observed during deposition events can be influenced by the processes that are also important for the fine, rather than coarse, size fraction of particles.
2001년 3월말 기간을 중심으로 강화도 하리지점에서 대기 중 수은의 토양-대기간 교환율의 측정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은의 농도구배를 측정하고 이를 미기상학적 인자와 결합하는 방식으로 수은의 플럭스값을 산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강화지역의 수은 농도는 일반적으로 도심환경에서 발견되는 수준보다는 현저하게 낮은 수준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측정된 플럭스값은 200ng/m$^2$/h에 근접하여 일반적으로 청정한 환경에서 발견되는 수준을 훨씬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기간 동안 관측된 주요 환경변수들의 분포경향을 비교해 보면, NOx와 PM등을 포함하는 대부분의 변수들은 배출시의 농도가 침적시의 농도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반면 기상학적 요인들은 이러한 경향성이 고온 또는 저습도에서 뚜렷하게 확인되었다. 상관분석의 결과에 따르면, 배출시에 대부분의 오염인자들이 수은과 강한 양의 상관성을 보여주었지만, 침적시에는 그러한 경향이 역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흥미로운 사실은 침적시에 수은관련 변수들은 미세입자와 어느 정도 연계성을 띠는 것을 확인시켜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