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ication of Spatial Analysis Modeling to Evaluating Functional Suitability of Forest Lands against Land Slide Hazards

공간분석(空間分析)모델링에 의한 산지(山地)의 토사붕괴방재기능(土砂崩壞防災機能) 적합도(適合度) 평가(評價)

  • Chung, Joosang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Hyungho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Cha, Jaemi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정주상 (서울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김형호 (서울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차재민 (서울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Received : 2001.06.14
  • Accepted : 2001.08.20
  • Published : 2001.09.30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patial analysis modeling technique to evaluate the functional suitability of forest lands for land slide prevention. The functional suitability is classified into 3 categories of high, medium and low according to the potential of land slide on forest lands. The potential of land slide hazards is estimated using the measurements of 7 major site factors : slope, bed rock, soil depth, shape of slope, forest type and D.B.H. class of trees. The analytic hierarchical process is applied to determining the relative weight of site factors in estimating the potential of land slides. The spatial analysis modeling starts building base layers for the 7 major site factors by $25m{\times}25m$ grid analysis or TIN analysis, reclassifies them and produces new layers containing standardized attribute values, needed in estimating land slide potential. To these attributes, applied is the weight for the corresponding site factor to build the suitability classification map by map algebra analysis. Then, finally, cell-grouping operations convert the suitability classification map to the land unit function map. The whole procedures of the spatial analysis modeling are presented in this paper.

이 연구의 목적은 토사붕괴산지재해에 대한 산지의 기능적합도 평가를 위한 공간분석모델링기법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기능적합도는 산지의 토사붕괴 가능성에 따라 상, 중, 하의 3단계로 구분되었다. 토사붕괴의 가능성온 경사, 모암, 토심, 경사형태, 임상 및 임목의 직경급과 같은 7개의 입지인자들에 대한 측정치를 이용하여 추정되었고, 이 과정에 토사붕괴 발생 요인으로서 각 인자들의 상대적 가중치는 AHP기법에 의해 결정되었다. 공간분석모델링은 7개 입지인자들에 대한 $25m{\times}25m$ grid 분석 혹은 TIN 분석을 통해 기초 layer 작성에서 시작된다. 이를 토대로 재분류 및 점수화 과정을 거쳐 토사붕괴 가능성 추정에 필요한 인자들의 속성 값을 지니는 새로운 layer를 형성한다. 이러한 속성 값에 가중치를 적용하고 지도대수분석을 통해 $25m{\times}25m$ cell 단위의 기능평가도를 작성하고, 마지막으로 cell-grouping을 통해 보다 실무적인 기능도를 작성하게 된다. 이 논문은 이러한 일련의 공간분석모델링 과정을 방법론적 관점에서 제시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