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the Shade Tolerance, Light Requirement, and Water Relations of Economic Tree Species(III) - Analysis of Pressure-Volume Curves on the Changes of Tissue Water Relations of Five Deciduous Hardwood Species Subjected to Artificial Shading Treatments -

주요경제수종(主要經濟樹種)의 내음성(耐陰性) 및 광선요구도(光線要求度)와 수분특성(水分特性)에 관한 연구(III) - 인공피음처리하(人工被陰處理下)에서 자라는 활엽수(闊葉樹) 5수종(樹種)의 수분특성(水分特性) 변화(變化)에 대한 P-V곡선(曲線) 분석(分析) -

  • 최정호 (충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권기원 (충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Received : 2001.05.30
  • Accepted : 2001.06.21
  • Published : 2001.09.30

Abstract

The pressure-volume curve parameters were investigated to elucidate the effects of shading treatment on the water relations of the one year old seedlings of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Betula schmidtii, Zelkova serrata, Acer mono and Prunes sargentii subjected to five levels of artificial shading treatments. The osmotic potentials at full turgor(${\phi}_{{\pi}o}$) measured under full sunlight changed with species and growing season in the ranges of -1.04~-1.27MPa, -1.03~-1.48MPa, -0.94~-1.44MPa in first year treatment, and -0.90~-1.37MPa, -1.05~-1.79MPa, -0.99~-1.30MPa in second year treatment in June, July, and September, respectively. The osmotic potentials at full turgor increased with increment of shading level in the ranges of -0.90~-1.79MPa in full sunlight and -0.58~-1.23MPa in nearly full shading level(E) through the growing seasons in all the species studied. The osmotic potentials at turgor loss point(${\phi}_{{\pi}p}$) measured in full sunlight changed in the ranges of -1.64~-2.11MPa, -1.67~-2.15MPa, -1.47~-2.11MPa, and -1.45~-2.04MPa, -1.30~-2.00MPa, -1.28~-2.33MPa in June, July, and September of first and second years, respectively. Most of ${\phi}_{{\pi}p}$ measurements were lower within about 0.5MPa in comparison with those of ${\phi}_{{\pi}o}$. The measurements of ${\phi}_{{\pi}p}$ also increased with increment of shading level, and the differences in ${\phi}_{{\pi}p}$ among shading levels were generally greater than those in ${\phi}_{{\pi}o}$ by species and by growing season. Most of the osmotic potentials at turgor loss point as like as at full turgor were lowered in July than in June and September. The measurements of relative water content at turgor lass point(RWCp) in full sunlight were in the similar ranges of 81~88%, 71~86%, 75~84%, and 82~87, 72~84%, 76~86% in June, July, and September of first and second years, respectively. The RWCp were a little higher in A. mono and P. sargentii than in B. platyphylla var. japonica, B. schmidtii, and Z. serrata. The RWCp also decreased from 71~88% in full sunlight to 48~77% in nearly full shading treatment with increment of shading level. Even if there were some exceptions by species or by growing season, the shading effects on the changes in some P-V parameters were distinctly observed in the present study. The change in P-V parameters following shading treatment may be presumably inferred on the changes in solute accumulation, membrane elasticity, symplasmic water volume, and so on. But much more experiments should be necessarily continued for getting detailed informations on the physiological mechanism of shading effects relating to the changes in P-V parameters.

자작나무, 박달나무, 느티나무, 산벚나무, 고로쇠나무 1년생 유묘에 5수준의 인공피음처리를 실시하면서 이들의 수분특성에 미치는 피음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P-V curve에 의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최대 팽압 하에서의 osmotic potential(${\phi}_{{\pi}o}$)은 전광처리구에서 6월, 7월, 9월에 각각 -1.04~-1.27MPa, -1.03~-1.48MPa, -0.94~-1.44MPa(1차 연도), -0.90~-1.37MPa, -1.05~-1.79MPa, -0.99~-1.30 MPa(2차 연도)의 범위에서 수종이나 계절에 따라 변화를 보였다. 최대 팽압 하에서의 osmotic potential(${\phi}_{{\pi}o}$)은 전기간을 통해 조사된 모든 수종에서 전광 처리구(A)는 -0.90~-1.79MPa, 강피음구(E)는 -0.58~1.23MPa의 범위 내에서 피음수준이 높아지면서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초기위조점에서 측정된 수분 potential(${\phi}_{{\pi}p}$)은 전광 처리구(A)에서 6월, 7월, 9월에 각각 -1.64~-2.11MPa, -1.67~-2.15MPa, 1.47~-2.11MPa(1차 연도)과 -1.45~-2.04MPa, -1.30~-2.00MPa, -1.28~-2.33MPa(2차 연도)의 범위 내에서 변화를 보였다. ${\phi}_{{\pi}p}$ 측정치 대부분은 ${\phi}_{{\pi}o}$ 측정치에 비해서 약 0.5MPa 정도의 낮은 값을 보였다. ${\phi}_{{\pi}p}$ 측정치 또한 피음처리를 강하게 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피음처리에 따른 ${\phi}_{{\pi}p}$ 측정치의 차이는 수종이나 생육시기에 따라 일부 예외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phi}_{{\pi}o}$ 측정치에서의 차이보다는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최대팽압에서와 마찬가지로 초기위조점에서의 osmotic potential 측정치 대부분은 6월이나 9월에 비해 7월에 측정된 값이 다소 낮은 값을 보였다. 초기위조점에서의 상대수분함량(RWCp)은 전광조건에서 1차 연도 6월, 7월, 9월에 각각 81~88%, 71~86%, 75~84%, 2차연도에는 82~87%, 72~84%, 76~86%로 연도별 차이가 별로 크지 않은 비슷한 범위 내에 있었다. 고로쇠나무, 산벚나무에서의 상대수분함량은 자작나무 박달나무, 느티나무에 비해 다소 높은 값을 보였다. RWCp 또한 전광조건(A)에서는 71~88%, 강피음구(E)에서는 48~77%까지로 대부분 피음처리 수준이 강할수록 감소하는 변화를 나타냈다. 비록 수종이나 계절에 따라 일부 예외는 있지만 몇 가지 P-V 모수들의 변화에 미치는 피음효과는 본 연구에서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피음처리에 따른 P-V 모수들의 변화는 전해질의 축적, 세포막의 탄성, 세포액 등에서의 변화 등과 관련지어 추론될 수 있다. 그러나 P-V 모수들의 변화에 미치는 피음효과에 대한 생리적인 기작에 대하여 상세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반드시 더 많은 실험이 계속되어야만 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과학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