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ition of the Korean Rural Society: On the Basis of Population and Family Changes

한국 농촌사회의 변천: 농촌 인구와 가족의 변화를 중심으로

  • Published : 2001.01.01

Abstract

We have approached this study on the basis of population and family changes. We have selected two suburban and two general rural areas for this research. The suburban rural areas are located next to Chungju City, which is the biggest city in Chungbuk Province, and the residents are able to commute to Chungju. The general rural areas are located in Boeun Gun, which is a typical agricultural county in Chungbuk Province. We have conducted two round surveys at the research areas: 1995-1996 for the first round and 1999-2000 for the second round surveys. Since the surveys were completed ones interviewed by enumerators, we have used the survey data directly for the analysis by year and region. The population structure by age and sex in general rural areas is shaped as a reverse triangle, which is becoming more serious because of the continuing emigration of young generation. Most of the young generation moves to the urban areas and their old parents only are left in their hometown, rural areas. When the parents become old and die, the number of households in the areas decreases rapidly. If there are no more new family formations, therefore, the rural society itself would cease to exist in near future. However, the situation of suburban rural areas was a different case. Although the rural young generation has moved to urban areas, other young age groups have moved into the areas with their small enterprises and for the low living costs. The original residents become older and the young age groups are replaced with the new immigrants continuously. Therefore, the traditional agricultural society will be replaced with a non-agricultural society, which will have more characteristics of urban areas.

농촌사회의 변화를 사회 구성원인 인구와 원초제도인 가족의 변화를 중심으로 접근하였다. 연구지역은 청주시로 출퇴근이 가능한 충북 청원군 옥산면의 2개리 (근교농촌)와 도시와 접하지 않은 충북 보은군의 2개리(일반농촌)를 선정하였다. 농촌사회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연구지역에서 1995-1996년의 1차 조사와 1999-2000년의 2차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원에 의한 면접전수조사이므로 연도 및 지역별 조사결과를 직접 비교하였다. 일반농촌의 경우 성.연령별 인구구조는 전형적인 역삼각형을 그리고 있으며, 이 현상은 지속적인 젊은 연령층의 전출로 더욱 심화되고 있다. 젊은 연령층의 자녀세대가 도시로 이주하고, 새로운 가족형성이 이루어지지 않고, 노 부모세대만 잔류하다가 노령으로 사망하게 되면 기존 가족의 해체와 더불어 농촌의 지역사회 자체의 존속이 어려워 진다. 한편 근교농촌의 경우에도 노령화 현상이 나타나지만 청장년층에서 전출과 전입이 교차하고 있다. 그러므로, 주로 농업에 종사하는 원주민 세대의 노령화가 진행되면서 농촌의 전통적 특성이 감소하는 대신 비농업에 종사하는 젊은 연령층의 전입으로 중간 연령층을 형성하게 되므로 앞으로 도시 특성이 강한 새로운 지역사회로 변모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