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laeomagnetism of the Okchon Belt, Korea: Paleozoic Rocks in Yemi Area

옥천대에 대한 고자기 연구: 예미지역 고생대 지층의 잔류자기

  • Published : 2001.08.01

Abstract

Palaeomagnesim of Paleozoic Tuwibong Type Sequence in Yemi area was studied with a total of 256 core-samples collected from 23 sites. The study area (geographical coordinates: 37.l8$^{\circ}$N, l28.610E) is located between Taebaek and Yongwol belonging to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Okchon Belt. Thermal cleaning was a most effective method to extract stable characteristic remanent magnetization (ChRM) direction, even though AF cleaning also worked on some specimens. Mean ChRM direction of the Cambrian Hwajol Formation was different from the present-day field direction and showed maximum clustering (max. k value) at 100% bedding-tilt correction. However, it could not pass the fold test. Ordovician Makkol and Kosong Limestones as well as Permian Sadong and Kobangsan Formations have very weak NRM, and were remagnetized into the present-day field direction. ChRM directions from the Carboniferous Hongjom Formation passed both fold and reversal tests. IRM experiments and blocking temperature spectrum indicate that both magnetite and haematite are carrier of the primary magnetization. Palaeomagnetic pole position from the Carboniferous Hongjom Formation is very similar to that of contemporary North China Block (NCB) suggesting that the study area was a part of, or located very near to, the NCB during Carboniferous.

옥천비변성대내 예미지역 23개지점으로부터 총 256개의 정향 코어시료를 채취하여 잔류자기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지역은 태백과 영월사이의 두위봉형 퇴적지역이며 지리적 중심좌표는 37.18$^{\circ}$N, 128.61$^{\circ}$E이다. 일부 시료들에서는 교류 자기세척이 효과를 발휘하였으나 대부분의 경우 고온 열 세척이 특성잔류자기를 추출하는 주요 수단이었다. 캄브리아기 지층(화절층)의 특성잔류자기는 현재자기장 방향과 다르며 100%의 지층경사보정에서 최대의 군집을 이루어 1차잔류자기의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나 통계학적 습곡검사를 통과하지는 못하였다. 오도비스기 지층 (막골석회암, 고성석회암)의 경우에는 잔류자기 강도가 매우 낮았으며 또한 심하게 재자화되어 있었다. 석탄기 지층(홍점통)의 특성잔류 자기는 습곡검사와 역자화검사를 통과하는 습곡이전의 1차잔류자기이었는데 교류 세척과 열 세척으로 나타난 각각의 안정 잔류자기 방향이 서로 일치를 보여서 1차잔류자기라는 확신을 굳혀주었다. 이 석탄기 지층(홍점통)의 특성잔류자기는 습곡검사와 역자화검사를 통과하는 습곡이전의 1차잔류자기이었는데 교류 세척과 열 세척으로 나타난 각각의 안정 잔류자기 방향이 서로 일치를 보여서 1차잔류자기라는 확신을 굳혀주었다. 이 석탄기 지층의 특성잔류자기는 한노두에서도 지층의 상하부에 따라 방향이 상당히 다르게 나타나는데 이는 홍점통이 퇴적되는 동안 지구의 자극이 이동되었던 데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석탄기 지층을 상하부로 구분하여 평균 특성잔류자기 방향을 산출하고 이로부터 고자기학적 북극의 위치를 구하여 중국의 것과 비교하면 북중국지괴(NCB)의 것과 매우 유사한 반면 남중국지괴(SCB)의 것과는 판이하게 다르다. 따라서 예미지역은 석탄기동안에 북중국지괴의 일부였거나 최소한 이에 근접하여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페름기 지층(사동통, 고방산통)으로부터는 현재자장방향으로 재자화된 습곡이후의 2차잔류자기만이 검출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지질학회지 v.26 한국 쥬라기의 고자자기 김광호;남기상;이정후
  2. 지질학회지 v.5 예미북서부지역에서 밝혀진 몇가지 지질학적 사실 김봉균
  3. 지질학회지 v.25 영월-마차리-정선일대의 캄브리아-페름기 퇴적암에 대한 고자기 연구 김인수
  4. 지질학회지 v.29 태백지역의 캄브리아-트라이아스기 퇴적암에 대한 고자기 연구 김인수;임아연
  5. 지질학회지 v.31 문경지역 대동누층군에 대한 고자기 연구: (Ⅰ) 특성잔류자기의 추출 김인수;김정필;민경덕
  6. 한국석유지질학회지 v.5 예미각력암 : 성인과 층서적 의미 우경식
  7. 자원환경지질 v.28 옥천대의 중생대 이래의 지구조적 운동에 관한 고지자기 연구 이윤수;민경덕
  8. 한국의 지질과 광물자원 하부고생대층 이하영
  9. 지질학회지 v.10 고생물학적으로 본 각동단층의 의의 정창희
  10. 한국의 지질과 광물자원 상부고생대층 정창희
  11. 태백산지구 지질도(1:50,000) 태백산지구 지하자원 조사단
  12. Geol. Soc. Amer. Bull. v.71 Review of paleomagnetism Cox, A.V.;Doell, R.R.
  13. Geophys. Res. Lett. v.20 Triassic paleomagnetic results from the yangtze block, SE China. Dobson, J.P.;Heller, F.
  14. Geophys. Jour. Int. v.117 Palaeomagnetism of the (Upper Paleozoic-Lower Mesozoic) Pyongan Super group, Korea: a Phanerozoic link with the North China Block Doh. S.-J.;Piper, D.A.
  15. Jour. Geophys. Res. v.97 Paleomagnetic constraints on the geodynamic history of the major blocks of China from the Permian to the present Enkin, R.J.;Yang, Z.;Courtillot, V.
  16. Proc. Roy. Soc. London, Ser, A v.217 Dispersion on a sphere Fisher, R.A.
  17. Earth Planet. Sci. Lett. v.131 Triassic paleomagnetic data from south China and their bearing on the tectonic evolution of the western circum-Pacific region Gilder, S.A.;Coe, R.S.;Wu, H.;Kunag, G.;Zhao, X.;Wu, Q.
  18. Geophys. Jour. Roy. astr. Soc. v.45 A least-squares method to find a remanence direction from converging remagenetization circles Halls, H.C.
  19. Earth planet. sci. Lett. v.143 Paleomagnetism of Middle Triassic redbeds from Hubei and northwestern Hunan provinces, South China Huang, K.;Opdyke, N.D.
  20. Tectonics v.9 Jurassic and Triassic paleomagnetism of south Korea Kim, K.H.;Van der Voo, R.
  21. Jour. Geomag. Geoelectr v.44 Carboniferous -Triassic palaeomagnetism of south Korea Kim, K.H.;Lee, J.D.;Choi, M.O.
  22. Geophys. Jour. roy. astr. Soc. v.62 The least-squares line and plane and the analysis of palaeomagnetic data Kirschvink, J.L.
  23. Geol. Soc. Amer. Bull. v.103 Paleogeography of some vestiges of Iapetus: Paleomagnetism of the Ordovician Robert's Arm, Summerford, and Chanceport groups, central Newfoundland Knutson, L.C.;Van der Voo, R.;Johnson, R.J.E.;Van der Pluijm, B.A.
  24. Jour. Fac. Sci. Univ. Tokyo, Sec.Ⅱ v.8 Geology of South Kore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limestone Plateau of Kogendo, The Cambro-Ordovician formation and the fauna of South Chosen(Korea), Part Ⅳ Kobayashi, T.
  25. Jour. Fac. sci. Univ. Tokyo, Sec.Ⅱ v.2 Stratigraphy of the Chosen group in Korea and South Manchuria and its relations to the Cambro-Ordovician faunas of other area Kobayashi, T.
  26. Geol. Soc. Korea Geology of Korea Lee, D.S.(ed.)
  27. Geophys. Jour. Int. v.125 High-unblocking temperature haematite magnetizations of late paleozoic red beds from the Okcheon zone, southern pat of the Korean peninsula Lee, Y.S.;Nishimura, S.;Min, K.D.
  28. Trans. Royal Soc. London, Ser. A v.331 palaeomagnetism, North china and South China collision, and the Tan-Lu fault Lin, J.L.;Fuller, M.
  29. Geophys. Jour. roy. astr. Soc. v.8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fold test in palaeomagnetism McElhinny, M.W.
  30. Methods in Palaeomagnetism A.C. demagnetization of rocks: Analysis of result Zijderveld, J.D.A.;Collision, D.W.(ed.);Creer, K.M.(ed.);Runcorn, S.K.(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