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lti-layers of Geographical Meanings in the Korean Bonkwan

本貫의 累層적 意味와 그 起原에 대한 歷史地理的 探索

  • 전종한 (한국교원대학교 지리교육과 대학원)
  • Published : 2001.03.01

Abstract

Social historical geography is interested in geographical elements related with a social group and perceives the diverse dimensions of a geographical phenomen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interpret the multi-layers of meanings associated with the ancestral places of lineage group, i.e. Bonkwans(本貫)in Korea with a viewpoint to social historical geography. The term Bonkwan does not appear in any historical records prior to ths 10th century. Thereafter it is used continuoushy by lineage groups or by govermment agents till the 17th century. I believe that during this long-term period Bonkwan assumed multiple geographical meanings which varied from period to period, such as residence place, a place of origin, and a place symbolizing power. Each layer of meaning was the product of a certain period and of a cetain lineage. Its first meaning was produced in the early Koryo kingdom. Its second meaning from late in the same kingdom to the early part of Chosun kingdom.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Bonkwan correctively, we need to see it at a large perspective. That is to say, it needs to be viewed in the framework of immigration study of each lineage because the term is more is moreof a social construct than a fixed notion.

사회역사지리학은 지리적 현상을 사회집단과 관련하여 인식하고 해석한다. 이 글은 한국 성씨집단을 지리적 사회집단으로 인식하고 그들의 본관 문제를 사회역사지리학의 시각에서 살핀 것이다. 필자는 현재의 본관 개념이 단일한 의미가 아닌 다양한 의미층을 갖는다고 인식하였다. 고려전기부터 본격적으로 등장한 우리 나라의 본관 개념에는 그 후 조선시기까지는 몇 개의 의미층이 누적되어 왔음을 알 수 있었고, 그 기원을 사회역사지리적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결과적으로 본관의 의미는 시대마다. 성씨집단에 따라 다양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요약하면 실제로서의 본과, 기원으로서의 본관 권력에의 의지로서의 본관이다. 첫 번째 의미층은 <본관=거주 장소>의 의미로서 시기적으로 고려시기에 두 번째 의미층은 <본관= 기원 장소>의미로서 본관과 거주지가 분리된 상황 즉 여말선초에, 그리고 세 번째 의미층은 <본관= 상징 장소>라는 소위 권력에의 의지를 보여주는 허구적이고 상징적인 의미로서 조선 전기를 과도기로 하여 조선중기의 전란기이후에 형성된 것으로 보았다. 오늘날 우리나라 각 성씨집단들이 사용하고 있는 본관의 의미는 이상의 세 가지 의미중 한가지 이상으로 규정할 수있다. 그러나 구체적인 성씨집단별 본관의 의미 문제는 종족집단의 거주지 기원과 공간적 이주과정이라는 보다 넒은 주제의 틀에서 조명될 필요가 있다. 이것은 본관이 단순한 물리적 공간을 넘어선 컨텍스트상의 사회적 구성체이기 때문이다.

Keywords

References

  1. 三國史記 金富軾
  2. 高麗史 金宗瑞;鄭麟趾
  3. 國譯 朝鮮王朝實錄 CD 편집부
  4. 擇里志 李重煥
  5. 萬姓大同譜 만성대동보발행소(京城)(편)
  6. 朝鮮の姓 朝鮮總督府
  7. 朝鮮の姓氏と同族部落 朝鮮總督府
  8. 朝鮮の聚落 下 朝鮮總督府
  9. 族譜類 편집부
  10. 萬姓族譜辭典 편집부
  11. 韓國姓氏大觀 편집부
  12. 韓國族譜舊譜序集 정병완(편)
  13. 韓國人의 族譜 편집부
  14. 族譜回想 40年史 편집부
  15. 姓氏의 故鄕 중앙일보사
  16. 高麗墓誌銘集成 김용선(편)
  17. 지리학논총 v.10 씨족촌락의 형성과정과 입지 및 유교문화경관 김덕현
  18. 한국가족제도연구 성, 씨족의 형성 발전 김두헌
  19. 진단학보 v.52 고려 본관제도의 성립 김수태
  20. 역사교육논집 v.4 신라중고 금석문의 인명표기 (Ⅱ) 김창호
  21. 봉건사회의 기본구조 김홍식
  22. 동남부 중국의 宗族組織 모리스프리드만;김광억(역)
  23. 대한지리학회지 v.31 no.2 한국 문화·역사지리학 50년의 회고와 전망 류제헌
  24. 한국사연구논선 v.14 고려초기 귀화 漢人에 대하여 박옥걸
  25. 고려시대 향촌사회 연구 박은경
  26. 한국사시민강좌 v.24 위조 족보의 유행 백승종
  27. 조선사회사연구 송준호
  28. 한국성씨대관 한국 성씨의 개설 신석호
  29. 지리학논총 v.7 반월면 4리 동족부락에 대한 연구 양보경
  30. 지방사와 지방문화 v.2 역사문화학회(편)
  31. 한국 친족의 사회인류학 이광규
  32. 가족과 친족 이광규
  33. 한국사 v.4 고려귀족사회의 형성 이기백
  34. 지리학논총 no.별호 6 태안반도의 촌락형성에 관한 연구 이문종
  35. 한국중세사회사연구 이수건
  36. 구곡 황종동교수 정년기념 사학논총 조선후기 姓貫 의식화 編譜 체제의 변화 이수건
  37. 한국사시민강좌 v.24 족보와 양반의식 이수건
  38. 素軒 남도영 박사고희기념 역사학 논총 중국에서 동래 귀화한 사람의 성씨와 그 자손의 신분 지위 이종일
  39. 한국 사회사 연구 이태진
  40. 조신시기 촌락사회사 이해준
  41. 문화역사지리 no.5 촌락의 공간적 확대과정에 관한 연구 전종한
  42. 문화역사지리 no.11 英美 역사지리학의 최근 동향과 社會歷史地理學 전종한;류제헌
  43. 역사비평 v.13 본관제의 성립과 성격 채웅석
  44. 고려시대의 국가와 지방사회 채웅석
  45. 지리학연구보고 v.14 한국촌락의 지역적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 최기엽
  46. 고려사회사연구 고려시대의 本과 거주지 허흥식
  47. 朝鮮の姓名氏族に關する硏究調査 今村革丙
  48. 韓國中世社會史の硏究 高麗王朝成立期の府と豪族 旗田巍
  49. 社會集團の生活空間-その社會地理學的硏究 水津一郞
  50. 社會地理學の基本問題 水津一郞
  51. 空間から場所ヘ -地理學的想像力の硏究- 支配-監視の空間, 排途の空間-'住むこと'から'居住地'ヘ 丹羽弘一
  52. Explorations in Historical Geography Reflections on the relations of historical geography and the Annales school of history Baker, A.R.H.;Baker, A.R.H.(ed.);Gregory, D.(ed.)
  53. Historical Geography: Progress and Prospect Theory and methodology in istorical geography Butlin, R. A.;Pacione, M.(ed.)
  54. Environment and Planning D: Society and Space v.3 Power, space, and the body: a critical assessment of Foucault's Discipline and Punish Driver, F.
  55.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v.81 no.4 Power, modernity, and historical geography Harris, C.
  56. Progress in Human Geography v.19 no.2 New classics and diverse clusters in historical geography Macquillan, A.
  57. Environment and Planning D: Society and Space v.10 An occasion form geography: landscape, representation, and Foucault's corpus Matless, D.
  58. Progress in Human Geography v.20 no.2 History, memory, the politics of landscape and space work in historical geography from autumn 1994 to autumn 1995 Ogborn, M.
  59. Environment and Planning D: Society and Space v.10 Foucault's geography Philo,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