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1985-1997년 사이에 자가용 승용차는 소득수준이 높고 서비스업이 발달한 서울.부산.대수시 등 대도시등 서울시의 위성도시에서 보급이 먼저 이루어지고 점차 공업도시와 지상 중심도시로 확산하는 한편, 대도시에서의 보급률 증가는 둔화되었다. 이와 같은 현상은 1985년과 1991년 모두 금융, 보험, 부동산 및 사업 서비스업 종사율이 가장 크게 영향을 주었다 1997년에는 농업, 수렵업, 임업 및 어업 종사율이 새롭게 가장 큰 영향력을 미쳤다. 자가용 승용차 보급의 시.공간적 분포패턴은 1991년을 기준으로, 1985-1990년은 서울시나 그 위성도시 및 지방 중심도시에서 보급률이 높았고 보급률의 지역간 격차가 켰던 시기이며, 1991-1997년은 지역적 보급이 평준화되면서 수도권지역 및 지방 주요 도시에 보급률이 높았던 시기이다. 자가용 보급 지역 유형의 결정에 영향을 미친 중요한 요인은 대도시에서는 서비스업 종사율과 소득이, 군 지역에서의 서울시로부터의 거리와 인구규모이다.
Between 1985 and 1997 the diffusion of private passenger cars first occurred in major cities such as Seoul, Busan, Daegu and the satellite cities of the capital city that enjoyed high incomes and advanced service industries and then it gradually expanded to industrial and major provincial cities while posting a downturn in the major cities. Factor contrbuting to this phenomenon most significantly was the rate of employment in the financial insurance, real estate, and business service sectors in 1985 and 1990. The most ingluential factor in 1997 was the rate of employment in agriculture, hunting, forestry, and fishery. When measured against 1991 as a yardstick, the spatiotemporal ditribution rate of private passenger cars was highly between 1985 and 1990 in Seoul's satellite cities and major regional cities, showing a large inter-regional gap in terms of diffusion rate. The period from 1991 to 1997 showed a high rate of diffusion in cities within the capital region as well as in major regional cities, but inter-regional diffusion rate became similar. Key factors responsible for regional types of the diffusion were {1}the rate of employment in the service industrier and income in the major citier, and (2)the geogtaphic distamce between counties and Seoul plus the size of population in the county reg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