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Boulder Stream of Granitoid in Korea

한국 화강암질암류 산지에서 발달하는 암괴류에 관한 연구

  • Jeon, Young-Gweon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전영권 (대구가톨릭대학교 지리교육과)
  • Published : 2000.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geomorphic features and development on the boulder stream of granitoid in Korea. Considering the purpose and the method of this paper, three boulder streams are selected : Biseulsan(Mt. Biseul) boulder stream (Daegu city), Maneosan (Mt. Maneo) boulder stream(Gyeongnam province), Geumjeongsan(Mt. Geumjeong) boulder stream (Busan city). The boulder streams mentioned above are bigger in scale and more typical in shape than any other ones in the Korean Peninsula.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following are the main features of the boulder streams morphology : the mean gradient is $3{\sim}25^{\circ}$, the longer axes of the component boulders within the deposits averaged about 2m in length, the shapes of the component boulders may be both subangular and subrounded features. 2. The formation of the component boulders is associated with deep weathering of granitoid under warm humid conditions, and the downward movement of boulders occurred by solifluction and frost creep under periglacial conditions. 3. The geomorphic development stage of the boulder streams may be classified into four stages. These boulder streams come under fossil landform stage, the 4th stage ; evidence provided by lichens and weathering features indicate inactive or fossil landform. 4. In generally, boulder streams are well developed on shallow valley floors.

신생대 제4기 최종빙기 동안 주빙하기후 환경에 놓여 있었던 한반도에는 주빙하기후지형의 지표로써 인정되는 암괴류가 비교적 잘 발달하고 있다. 특히 화강암질암류의 기반지질이 암괴류 발달에 가장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강암질암류 암괴류 중에서 비교적 대규모이고 모식적인 형태를 보이는 비슬산, 만어산, 금정산 등 3곳의 암괴류를 대상으로 지형 및 지질적 특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형태론적인 경우 사면경사는 $3{\sim}25^{\circ}$로 완만하며, 사면의 종단면은 요형사면(concave slope)이다. 거력의 크기는 평균장경이 2m 내외, 형태는 아각력 또는 아원력이 대부분이다. 둘째, 성인론적인 경우 거력은 주로 화강암질암류의 심층풍화 결과 형성되며, 이러한 거력들의 사면상에서 주된 이동 프로세스는 솔리플럭션과 동상포행(frost creep)으로 설명될 수 있다. 셋째, 암괴류지형의 발달단계는 4단계로 분류할 수 있는데 연구지역에서 나타나는 암괴류는 제4단계인 화석화지형 단계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암괴류의 발달에 유리한 지형은 곡상지(shallow valley floor)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