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umers'′ Evaluation toward Retail Salespeople Attributes : Scale Development, Validation, and Some Related Variables

소비자가 지각하는 백화점 의류판매원의 평가속성 : 측정도구 개발 및 관련변인

  • 진병호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환경 전공) ;
  • 홍병숙 (중앙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 Published : 2000.08.01

Abstract

From the perspective of relationship marketing, salespeople acts important role by creating values and developing, establishing long-term relationship with customers. This study is designed to suggest validated measure of evaluating retail salespeople in department store setting in an effort to facilitate active future stud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attributes of retail salespeople based on series of personal interviews and literature reviews, and validated its measurement via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 addition, this study explored consumers' rating of the importance of attributes related to some selected consumer variables (consumer knowledge, product involvement, and demographic variabl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ed five dimensions of retail salespeople attributes: Service Mind, Sales Efforts, Product Knowledge, Comfortable Impression and Sale Inducing Skill. Customers of department stores put importance of salespeople attributes in this order. Some dimensions of consumer knowledge and product involvement do affect consumers' rating of retail salespeople attributes.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based on empirical results.

관계마케팅 파라다임에서 판매원은 단순히 판매뿐 아니라 고객에게 가치를 창조해 주고 장기적인 관계를 발전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판매원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소매상황에서 의류판매원의 평가속성을 파악하고, 이의 측정도구를 우리나라 상황에 맞게 개발하고, 그 속성의 중요도를 파악하는데 있다. 아울러 백화점 의류판매원 속성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 변인으로 소비자 지식과 제품관여 및 인구통계적 특성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백화점 의류판매원의 속성차원은 개별면접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개발되었으며, 이를 백화점 고객을 대상으로 실증 조사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백화점 의류판매원의 평가속성은 서비스 마인드, 판매노력, 수수한 인상, 판매유도기술 및 제품지식의 5차원으로 밝혀졌다. 백화점 고객은 의류판매원의 서비스 마인드를 가장 중요시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판매노력, 제품지식, 수수한 인상, 판매유도기술의 순으로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지식, 제품관여 및 인구통계적 변인은 소비자의 의류판매원 속성 지각에 부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학문적, 경영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