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nal Percep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al Tones by Western Music Experts

국악음에 대한 서양 음악 전문가의 조성적 지각

  • Published : 2000.06.01

Abstract

The tonal music organizes the tones based on the hierarchy of the relative importance of musical tones. So listeners who are familiar with a certain musical style internalize the tonal schema of that music in mind, though they have no formal training about these organizing principles. This research examined how the western music experts who are not familiar with classical Korean music interpret classical Korean music. In the other researches about musical styles outside the western music, the superficial informations such as the distribution and the duration of tones in the experimental stimulus might be used as cues to extract the tonal schema of that music. In this study, these superficial informations were controlled in order to reduce this possibilit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western music experts might interpret classical Korean music with the tonal schema of western music. but, thought the western music experts perceived classical Korean music on the base of the western musical framework and so their interpretation was not match with the tonal schema of classical Korean music. their interpretation was more similar to classical Korean tonal schema than the non-musicians interpretation of classical Korean music.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extensive experiences in a specific musical style can facilitate the listeners proper apprehension of the other musical styles.

조성음악의 경우는 음악적 음들의 상대적 중요성의 위계를 기초로 음들을 조직화하는 원리를 채택하고 있다. 해당 음악에 익숙한 청자들은 이런 원리에 대한 공식적 훈련을 받지 않아도 이와 일치하는 내적 지식. 즉 조성 도식(tonal schema)을 내재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서양 음악의 조성적 음 조직화 원리에는 친숙하지만 한국 전통 음악, 즉 국악에는 친숙하지 않은 서양 음악 전문가는 국악 음들의 조성적 측면을 어떻게 해석할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타 음악 문화에 대해 이루어진 선행 연구들에서는 실험 자극 내 음들의 발생 빈도, 지속시간 등의 피상적 정보가 비친숙한 음악의 조성 도식을 추출해내는 단서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피상적 정보를 통제한 뒤 이 경우 서양 음악 전문가는 국악 음을 듣고 자신에게 친숙한 서양 음악의 조성 도식의 틀을 적용하여 음악적 관계를 해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양 음악 전문가가 국악 음을 서양 음악의 틀로 해석하여 국악의 조성 도식과 일치하지 않는 판단을 보이기는 하지만, 국악과 서양 음악 모두에 대해 초보 수준의 경험만 가지는 일반인보다는 국악 조성 도식에 유사한 해석을 보임으로써 국악과 서양 음각같이 한 스타일의 음악에 대한 경험은 다른 스타일의 음악을 보다 쉽고 적절하게 해석하는 것을 촉진하는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국악 전문성에 따른 국악 음의 조성 도식 권윤주
  2. 최신 국악통론 장사훈
  3. 한국 전통 음악의 선율 구조 백대웅
  4. 전통 음악 개론 김해숙;백대웅;최태현
  5. 알기쉬운 국악 개론 이성천;권덕원;백일형;황현정
  6. 한국 전통 음악의 연구 장사훈
  7. 한국 음향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15 no.1 한국 전통 음악의 인토네이션 연구 최은규;권오연;방희석;성굉모;서우석
  8. Cognitive bases of Musical Communication Internal Representations for music perception and performance Krumhansl, C. L.; Jones, M. R.;Holleran, S.
  9. Cognitive Foundations of Musical Pitch Krumhansl, C. L.
  10. Cognitive Psychology v.11 The psychological representation of musical pitch in a tonal context Krumhansl, C. L.
  11. Psychological Review v.89 Tracing the dynamic changes in perceived tonal organization in a spatial representation of musical keys Krumhansl, C. L.;Kessler, E. J.
  12.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v.5 Quantification of the hierarchy of tonal function within a diatonic context Krumhansl, C. L.;Shepard, R. N.
  13. Music Perception v.2 Tonal schemata in the perception of music in Bali and the West Kessler, E. J.;Hansen, C.;Shepard, R. N.
  14.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v.113 Tonal hierarchies in the music of North India Castellano, M. A.;Bharucha, J. J.;Krumhansl, C. L.
  15. Music Perception v.5 The perception of tonal hierarchies and mirror forms in twelve-tone serial music Krumhansl, C. L.;Sandell, G. J.;Sergent, D.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