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류함수법에 의한 추계동역학적 하도홍수추적모형의 개발

Development of Stochastic-Dynamic Channel Routing Model by Storage Function Method

  • 발행 : 2000.06.0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추계동역학적 상태·공간형태의 하도 저류함수모형을 개발하고 실시간 홍수예보를 위한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는데 있다. 팔당댐에서 인도교 지점에 이르는 하도구간을 개발된 모형의 적용 대상구간으로 설정하였으며, 1987∼1998년에 발생한 13개의 홍수사상을 선택하여 모형 매개변수 산정 및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최적 매개변수는 각 홍수사상마다 다르지만, 현재 실무에서 사용하고 있는 매개변수를 사용한 유량예측은 비교적 합리적인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추계동역학적 모형에 의한 유량예측 결과와 기존의 확정론적 모형에 의한 결과를 비교·검토한 결과 본 연구모형이 보다 정확한 결과를 제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대상지역의 예측가능시간을 분석한 결과 비교적 지류의 유입이 적은 홍수사상의 경우 5시간 정도까지는 정확한 하류단이 유량예측이 가능한 것을 판단된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a state-space form of stochastic dynamic storage function routing model and to test the model performance for real-time flow forecast. The selected study area is the main Han River starting from Paldang Dam site to Indogyo station and the 13 flood events occurred from 1987 to 1998 are selected for computing model parameters and testing the model performance. It was shown that the optimal model parameters are quite different depending on Hood events, but the values used on field work also give reasonable results in this study area. It is also obvious that the model performance from the stochastic-dynamic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gives more accurate and reliable results than that from the existing deterministic model. Analysis for allowable forecast lead time leads that under the current time step the reasonable predicted downstream flows in 5 hours time advance are obtained from the stochastic dynamic model on relatively less lateral inflow event in the study area.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부 (1985). 충주다목적댐 건설에 따른 한강홍수예경보 프로그램 개선 보고서, 건설부, 한강홍수통제소
  2. 건설부 (1987-1994). 한강홍수예경보, 건설부, 한강홍수통제소
  3. 건설부 (1991). 한강수계 유출 프로그램 개선방안, 건설부, 한강홍수통제소
  4. 건설교통부 (1995-1998). 한강홍수예경보, 건설부, 한강홍수통제소
  5. 박상우, 오경두, 전병호 (1994). 'Kalman Filter를 이용한 실시간 유출예측에서의 초기치 산정', 수공학연구발표회 논문집, 한국수문학회, 여수수산대학교, 1994. 7. 9. pp. 285-292
  6. 배덕효 (1997). '저류함수법을 이용한 추계학적 실시간 홍수예측모형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0권 제5호, pp. 449-457
  7. 윤용남 (1996). 공업수문학, 청문각
  8. 이재형, 전일권, 김운중 (1994). '강우와 유출의 혼합 모형에 의한 홍수 예보', 수공학연구발표회 논문집, 한국수문학회, 여수수산대학교, 1994. 7. 9. pp. 381-386
  9. 이홍래, 김형섭 (1993). '수문모형 평가에 관한 연구, -강우-유출모형을 중심으로-', 연구보고서, 건기연 92-WR-11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0. 이종태, 한건연, 서병하 (1993). '한강의 홍수규모에 따른 인도교 수위의 조석영향 분석', 한국수문학회지, 한국수문학회, 제26권, 제2호, pp. 67-77
  11. 정동국 (1989). 강우-유출모형에 관한 상태 및 매개변수의 추계학적 추정, 공학박사 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12. 조원철, 배덕효, 이종설 (1996). '실제하천에서의 추계학적 상태.공간형태의 Muskingum-Cunge 모형 개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16권 제II-6호, pp. 533-542
  13. Bras. R.L., Rodriguez-Iturbe, I. (1985). Random Functions and Hydrology, Addison-Wesley, Reading, Mass
  14. Gelb, A. (1974). Applied Optimal Estimation, M.I.T Press, Cambridge, Mass
  15. Wood, E.F., O'Connell, P.E. (1985). 'Real-Time Forecasting', in Hydrological Forecasting. Edited by M.G. Anderson and T.P. Burt, John Wiley and Sons Ltd. pp. 505-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