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a Basic Model for GIS Audit, Based on Various Types of GIS Projects

GIS 사업유형을 고려한 GIS 감리의 기반 모델 연구

  • 고광철 (㈜ 메타GIS컨설팅 GIS감리사업팀) ;
  • 김은형 (경원대학교 공과대학 도시계획.조경학부)
  • Published : 2000.12.31

Abstract

Since 1995,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have competitively initiated many and large GIS projects and audit for the projects becomes an important issue. So far, the audit in the Information Technology(IT) area has tried to deal with the issue but ineffectiveness has been found for the successful GIS project management. Effective auditing is a critical element for the project management. In order to establish a proper audit model for the GIS projects and to promote auditing activities in the projects, this study constructs two hypotheses and tries to prove them. The hypotheses are as follows : 1) For a good audits model for GIS, unique characteristics of a GIS project audit items and the scope of the audit need to be identified. 2) The scope of audit needs to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requests from tasks in the projects. To prove the hypotheses, this study analyzes positive aspects of audit in IT and construction projects, clarifies the audit items in GIS projects by comparing with them, and classifies the scope of the GIS audit based on various types of GIS projects. As a results, 5 types of the GIS audit are identified : (1) audit for project management, (2) audit focused on IT, (3) audit characterized by GIS technologies, (4) GIS database audit and (5) consulting services for critical problems in the projects. In addition, 4 criteria in classifying the GIS projects are suggested for the GIS audit. The 4 criteria are domain, scope, duration, and GIS applications technologies. Especially, GIS technology considered in this study includes GIS software, methodologies for GIS development, GIS database and quality control of GIS data, which are not usually reflected in the existing studies about in GIS audit. Because the GIS audit depends on a type of GIS projects, scopes of the audit can be flexibly re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types of GIS projects. This is a key to effective and realistic audit for the future GIS projects. Strategies for effective GIS audit are also proposed in terms of the following: GIS project management, goal establishment in each audit stage, documentation from GIS audit, timing strategies for intensive GIS audit, and designing team structure.

정부가 국가지리정보시스템(NGIS)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지자체들이 경쟁적으로 대단위 도시지리 정보시스템(UIS)사업을 발주하면서 보다 효율적인 사업관리를 위해 'GIS 감리'가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현재 GIS 감리 제도가 정착되지 않은 상황에서 형식적인 감리 제도의 도입으로 인해 GIS 감리의 실효성을 제대로 거두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IS 감리 제도가 정착되고 GIS 감리 활동이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GIS 감리의 대상 및 감리 영역을 규명하는 'GIS 감리의 기반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과업지시서를 중심으로 GIS 감리의 대상을 규명한 후 기존의 정보시스템 감리과 건설감리의 장점을 수용하여 GIS 감리의 영역을 프로젝트 감리, 전산기술 감리. GIS기술 감리, 데이터베이스 구축 감리, 전략 감리'의 5가지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과업지시서를 통해 분석된 GIS 사업의 유형적 분류는 개발적응 대상분야에 의한 유형, GIS활용체계 구축 범위에 의한 유형, GIS활용체계 구축 기간에 의한 유형, GIS 기술적용에 의한 유형의 4가지로 제시하였다. 이중 GIS 기술적용에 의한 유형은 GIS S/W 기술, GIS 개발방법론 기술, 공간데이터 구축 기술, 공간데이터 검수 기술로 기존의 GIS 감리관련 연구에서 종합적으로 다루지 못한 사항들이 전반적으로 제시되었다고 할 수 있다. 과업지시서를 중심으로한 사업의 유형이 GIS 감리 영역에 반영된 것은 GIS 사업의 특성에 따라 융통성 있게 GIS 감리의 영역을 재구성할 수 있으므로 해서 보다 현실적인 GIS 감리 수행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끝으로 효과적인 감리 수행을 위해 GIS 감리 수행 전략을 제시하였으며 이들에서 언급된 사항은 향후 GIS 감리제도 정착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