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OF THE GENOTOXICITY OF FERRIC SULFATE BY COMET ASSAY

Comet assay를 이용한 Ferric Sulfate의 유전자 독성에 대한 연구

  • Kang, Ho-Se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Shi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Jeong, Tae-S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Park, Hae-Ryoun (Department of Oral Patholog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강호승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김신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정태성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박혜련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병리학교실)
  • Published : 2000.02.29

Abstract

Although ferric sulfate has been proposed as an alternative to formocresol in pulpotomy treatment in primary teeth, it has been given little concern regarding its cytotoxicity and mutagenicity. In the present study, we assessed the in vitro genotoxic effect of a ferric sulfate on human gingival fibroblast cell line (HGF-1). DNA damage was evaluated using comet assay (single cell alkaline gel electrophoresis) and obtained the results as follows: 1. A dose-respons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ferric sulfate concentrations (0 to 5mM) and DNA damages. 2. Above the concentration of 0.1mM, DNA damag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ose of the control (p<0.05). 2. At the fixed concentration of 0.05mM,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exposure time and DNA damag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erric sulfate as a pulpotomy agent can induce DNA damage in human gingival fibroblasts.

치수절단술은 유치의 치수치료 방법 중 사용빈도가 높은 시술 중 하나로 치수절단 술식에 사용되는 약제는 치수나 주위조직에 무해하여야 하며, 감염이나 내흡수 등의 부작용이 없어야 한다. 본 연구는 임상에서 유치의 지혈적 치수절단 술식의 약제로 사용되는 ferric sulfate의 유전자 독성을 평가할 목적으로 human gingival fibroblast에 ferric sulfate를 다양한 농도와 접촉시간을 설정한 후 comet assay를 이용하여 유전자 독성을 평가하여 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농도에 따른 세포의 유전자 손상정도의 변화는 ferric sulfate의 농도에 비례하여 유전자 손상이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2. 농도에 따른 세포의 유전자 손상정도는 0.1mM 이상의 농도에서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3. 시간경과에 따른 세포의 유전자 독성의 변화는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