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Xylose and Xylitol on the Organic Acid Fermentation of Kimchi

자일로스와 자일리톨 첨가가 김치의 유기산 발효에 미치는 영향

  • 김동경 (서울여자대학교 식품.미생물공학과) ;
  • 김상용 ((주)바이오 앤 진) ;
  • 이정걸 ((주)바이오 앤 진) ;
  • 노봉수 (서울여자대학교 식품.미생물공학과)
  • Published : 2000.08.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utilization of xylose and xylitol on Lactobacillus species isolated from Kimchi and their effect on the pH, titratable acidity, microorganism and formation of organic acids in Kimchi during fermentation at $10^{\circ}C$. Five species among six Lactobacillus species isolated from Kimchi could not utilize medium with xylose. All the Lactobacillus species isolated from Kimchi could not utilize medium with xylitol. The pH of Kimchi samples were similar to that of control Kimchi. The titratable acidity of Kimchi with xylose or xylitol was lower than that of control. This agreed to the degree of formation of lactic acid during fermentation of Kimchi. Formation of lactic acid for Kimchi with xylitol was lower than those of others. Therefore, shelf-life of Kimchi with xylitol could be extended.

자일로스와 자일리톨을 첨가하여 제조한 김치 발효시 pH, 적정산도 등의 이화학적 특성과 젖산 및 유기산의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김치에서 분리된 미생물의 당 이용도와 자일로스와 자일리톨를 첨가한 배지에서의 젖산균수를 측정하였다. 김치 미생물의 당 이용도를 보면 김치에서 분리한 젖산균 6종류 중 자일로스의 경우는 5균주가, 자일리톨의 경우에는 6균주 모두를 이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볼 때 발효성 당이 아닌 자일로스와 당알코올인 자일리톨의 첨가가 김치의 숙성을 억제시켜 저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자일로스와 자일리톨을 첨가하여 제조한 김치의 pH는 시료간의 큰 차이는 없었으나, 자일리톨 첨가구의 경우가 다른 시료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적정산도의 경우는 자일로스와 자일리톨 첨가구의 경우가 다른 실험구보다 낮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산 생성속도를 억제시켜 가식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었다. 유기산의 측정 결과를 보면 자일로스와 자일리톨을 첨가한 실험구의 경우 설탕을 첨가한 실험구보다 젖산과 다른 유기산의 생성이 느리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당류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와는 거의 비슷하거나 다소 생성이 저해되었다. 따라서 김치 제조 시 자일로스와 자일리톨을 첨가하면 발효 미생물 등의 성장을 억제하여 김치의 저장기간 동안 숙성을 억제함으로써 유통기간을 연장시켜 김치의 가식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