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인지적 사회지지 측정을 위한 PRQ(Personal Resource Questionnaire)-Part II의 타당도

STRUCTURAL VALIDATION OF THE PRQ PART II (PERCEIVED SOCIAL SUPPORT) MEASURE FOR ADOLESCENTS

  • 이은영 (진주보건대학 간호과) ;
  • 탁영란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발행 : 1999.12.31

초록

방법론적으로 사회적 지지와 건강과의 관련성에 관한 메타 분석의 결과 사회적 지지의 연구 결과는 측정된 도구에 의해 영향을 받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PRQ Part II는 초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의 이론검증연구에서 건강 관련 행위와의 예측 타당도 검증은 이루어 졌으나, 한국에서의 청소년을 대상으로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PRQ-Part II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도 검정이 청소년기 스트레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의 정확한 측정을 위하여 매우 중요하며, 다면적인 개념으로서의 인지적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는 방법론의 향상을 위해서 본 연구가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한국청소년을 대상으로 PRQ-Part II 25문항을 요인 분석한 결과 15문항의 4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요인 1에 해당하는 5가지 항목은 2개의 지도/정보(assistance/guidance), 3개의 정서적지지(intimacy)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요인 1을 '정서/지도/정보 지지'라고 명명하였다. 15문항의 PRQ-Part II한국 청소년의 인지적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는 타당하고 신뢰성 있는 도구로 나타났다. 4가지의 요인 추출로 구성된 15문항의 PRQ-Part II가 부모-자녀 관계, 또는 대처에서 더 높은 상관계수로 구성 타당도를 잘 설명하고 있다. 이에 청소년의 정신 건강의 완충 및 중재 변인으로서의 인지적 사회적 지지에 관심을 둔 이론 검정 연구 및 청소년 평가와 진단에서 15문항의 PRQ-Part II가 구성 타당도면에서 적절함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factor analyze the 25-item Personal Resource Question-naire (PRQ)-Part II, a social support measure, and to establish construct validity for the instrument among adolescents by relationship found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the theoretically relevant variables of attachment,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coping, The sample was consisted of 451 college students, aged 18 to 24. According to the criteria used in this study a four-factor structure, which consisted of 15-items, resulting from a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with an oblique rotation, best represented the multidimensionality of the PRQ-Part II of late adolescents in Korea. Evidence in support of construct validity for both the 15-item and 25-item PRQPart II was provided by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found between the two scales and the theoretically relevant variable of attachment,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coping. With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15-item Korean version of the PRQ-Part II can be used in research and practice as a reliable and valid instrument measuring perceived social support for late adolescents in Korea.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