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chial Brushing and Bronchial Washing for Diagnosis of Central Lung Cancer

중심형 폐암 진단을 위한 기관지찰과술과 기관지세척술

  • Park, Ki-S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Park, Jae-Y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Cha, Seung-Ic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Son, Ji-Wo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Kwan-Yo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Jeong-Seo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Chae, Sang-Cheo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ang, Tae-Ky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Park, Tae-In (Department of Anatomic Pathology,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Chang-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Jung, Tae-H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박기수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재용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차승익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손지웅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관영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정석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채상철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강태경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태인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해부병리학교실) ;
  • 김창호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정태훈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9.06.30

Abstract

Background : Forceps biopsy, bronchial brushing, and bronchial washing are used in conjunction with bronchoscopy to provide specimens for histologic and cytologic analysis in patients with suspected lung canc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how many times brushing should be done and how much fluid should be used during bronchial washing for increasing diagnostic yield, and to evaluate which combination of these procedures gives the highest diagnostic yield. Methods : Forty patients, with suspected lung cancer, who had bronchoscopically visible lesions were enrolled in this prospective study. During one bronchoscopic examination four forceps biopsies, four bronchial brushings, and bronchial washing were done in all patients.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y the amount of normal saline used for bronchial washing; group I, 10 ml ; group II, 20ml ; group III 30ml, and group IV, 40ml. We analyzed the results in 36 patients confirmed as lung cancer. Results : The diagnostic sensitivity of bronchial washing before and after forceps biopsy and bronchial brushing were 36% and 28%, respectively. The cumulative diagnostic sensitivity of bronchial washing was 47% an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bronchial washing before or after forceps biopsy and bronchial brushing (p<0.05). The diagnostic sensitivity of bronchial washing with saline of 30ml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bronchial washing with saline of 10ml or 20ml (p<0.05). The diagnostic sensitivity of the first brushing was 75%, the second brushing 78%, the third brushing 83%, and the fourth brushing 67%. With repeated brushing up to three times, the diagnostic sensitivity increased to 92% (p<0.05). However, inclusion of the fourth brushing did not give a further increase of the diagnostic sensitivity. The diagnostic sensitivity of forceps biopsy was 86%. The diagnostic sensitivities of forceps biopsy by the type of bronchial lesion were as follows: tumor, 88%; infiltration, 67%; infiltration with nodularity, 80%; and collapse, 100%. The combination of forceps biopsy and bronchial washing gave a diagnostic sensitivity of 89%. The diagnostic sensitivity of combining forceps biopsy with bronchial brushing was 97%. Addition of bronchial washing did not increase the diagnostic yield over forceps biopsy and bronchial brushing. Conclusion : In patients with central lung cancer, forceps biopsies and repeated brushings up to three times should be done for maximal diagnostic yield.

연구배경 : 중심형 폐암을 진단하는데 있어서 진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관지내시경적 세척술과 찰과술 방법을 조사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경북대학교병원 호흡기내과에서 기관지경검사상 기관지내 가시병변이 있었던 40명을 대상으로 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기관지내 병변은 그 형태에 따라 종괴 (I)형, 침윤 (II)형, 결절성 침윤 (III)형, 압박 (IV)형과 허탈 (V)형으로 구분하였다. 기관지 세척술은 조직생검과 찰과술 전 후에 각각 시행하였으며 대상환자를 1-4군으로 나누어 10ml, 20ml, 30ml, 그리고 40ml로 세척액 주입양을 달리 하였다. 찰과술은 기관지경을 기도내 병변부위에 둔 채 기관지경의 작업 통로를 통해 솔을 제거하는 이탈형 찰과술 (with-drawn brush)로 각기 다른 솔을 사용하여 각 환자에서 4회 시행하였다. 결 과 : 40예 가운데 36예가 폐암으로 진단되었으며 4예는 양성질환으로 진단되었다. 폐암으로 진단된 36예의 조직형은 편평상피암이 28예(75.7%)로 가장 많았고, 소세포암이 5예, 선암이 3예였다. 폐암으로 진단된 36예의 기관지내 병변은 종괴형이 17예(47.2%), 침윤형이 4예(8.3%), 결절성 침윤형이 10예(27.8%), 허탈형이 9예(16.7%)였고 압박형은 없었다. 찰과술과 생검 전 후에 시행한 세척술의 진단율은 각각 36%와 28%였으며, 찰과술과 생검 전 후 세척술의 누적진단율은 47%로 찰과술과 생검 전 혹은 후에 시행한 세척술의 진단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세척술시 주입한 생리식염수의 용량에 따른 진단율은 10ml의 경우 37.5%, 20ml는 44.4%, 30ml는 55.5%, 그리고 40ml는 50%로 10ml 혹은 20ml에 비해 30ml를 주입한 경우 진단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찰과술의 1-4회째의 진단율은 각각 75%, 78%, 83%, 67%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누적 진단율은 2회 78%, 3회 92%, 4회 92%로 3회 이상 시행한 경우 유의하게 높았다(p<0.05). 생검의 진단율은 86%였으며, 기관지내 병변의 형태에 따른 진단율은 종괴형 88%, 침윤형 67%, 결절성 침윤형 80%, 그리고 허탈형은 100%였다. 생검과 세척술 혹은 찰과술을 병행할 경우 누적진단율은 각각 89%, 97%였으며 생검, 세척술, 찰과술을 모두 시행할 경우의 진단율은 100%였다. 결 론 : 폐암의 진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생검과 함께 3회의 찰과술을 시행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되며 세척술의 가치에 대해서는 향 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세척술을 시행할 경우에는 생검과 찰과술 전 후에 모두 시행하고 30ml 이상의 세척액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