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iveness of Spiral Computed Tomography as a Diagnostic Tool in Pulmonary Embolism(Comparison of Spiral CT with Ventilation-Perfusion Scan)

폐색전증 진단의 도구로서의 Spiral Computed Tomography의 유용성(폐환기관류주사와의 비교)

  • Koh, Jae-Hyun (Department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Oh, Eun-Young (Department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Park, Jung-Ho (Department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Park, Sang-Joon (Department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Yun, Jung-Hwan (Department Radiolog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Park, Jung-Woong (Department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Suh, Gee-Young (Department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Chung, Man-Pyo (Department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Lee, Kyung-Soo (Department Radiolog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won, O-Jung (Department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Rhee, Chong-H. (Department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고재현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내과학교실) ;
  • 오은영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내과학교실) ;
  • 박정호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내과학교실) ;
  • 박상준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내과학교실) ;
  • 윤정환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영상의학과교실) ;
  • 박정웅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내과학교실) ;
  • 서지영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내과학교실) ;
  • 정만표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내과학교실) ;
  • 이경수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영상의학과교실) ;
  • 권오정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내과학교실) ;
  • 이종헌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9.04.30

Abstract

Background: With variable symptoms and nonspecific radiographic appearances, pulmonary embolism (PE) is a frequent and often undiagnosed cause of mortality and morbidity. The Prospective Investigation of Pulmonary Embolism Diagnosis (PIOPED) study suggested that the majority of patients undergoing ventilation-perfusion (V-Q) scan would require additional studies to establish or to exclude the diagnosis of PE. Pulmonary angiography has been regarded as gold standard for diagnosis of PE. However, it is an invasive procedure that may be associated with significant notable morbidity and mortality. Thus, availability of an accurate, noninvasive screening examination is highly desirable. Method: From October 1994 to February 1997, twenty patients (male 13, female 7, range 23-91 years, median 58 years) who were suspected as pulmonary embolism on the basis of clinical evidence and underwent the spiral volumetric computed tomography (spiral CT), were studied retrospectively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spiral CT as a diagnostic tool in PE. Results: PE could be excluded with spiral CT in 4 patients ; diagnoses of these patients were lung cancer, pneumonia with lung abscess, bilateral pleural effusion due to congestive heart failure, nonspecific pulmonary abnormality retrospectively. One patient who disclosed high probability in V/Q scan, could be diagnosed as pneumonia with lung abscess and underlying emphysema with spiral CT. Among 4 patients who showed intermediate and low probability in V/Q scan, 3 patients could be confirmed as PE with spiral CT. Spiral CT was helpful in 3 patients, in whom V/Q scan could not be performed due to other reasons (e.g. night time, mechanical ventilation) to confirm the diagnosis of PE. Spiral CT could demonstrate embolus above lobar artery level in 11 patients, and up to segmental artery level in 5 patients.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spiral CT could allow accurate demonstration of thrombotic clots in centrally localized embolism. Spiral CT could be effective, specific, noninvasive and useful diagnostic screening modality for the diagnosis of pulmonary embolism.

배 경: 폐색전증의 임상증상은 비특이적이어서 임상증상 만으로 진단이 어렵다. 폐색전증의 진단을 위하여 폐환기관류주사가 선별검사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PIOPED(the prospective investigation of pulmonary embolism diagnosis) 연구의 결과처럼 저 중등도 확률 소견일 경우 폐색전증의 진단을 내리거나 배제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으며 PIOPED 연구의 약 60%의 환자가 저 중등도 확률 소견을 보인다. 이러한 환자들은 확진을 위해 폐동맥조영술이 필요하지만 침습적이며 쉽게 시행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가공 영상을 줄이고 조영제 일시주사 기술로 혈관구조를 조영할 수 있게 한 spiral CT가 폐동맥조영술을 대신하여 폐색전증의 진단에 이용하는 전향적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폐색전증의 진단에서 spiral CT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폐색전증을 의심하여 spiral CT를 찍은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를 시행하였다. 방 법: 1994년 10월부터 1997년 2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 입원한 환자 중 폐색전증이 의심되어 spiral CT를 시행한 20명(남자 : 13명, 여자 : 7명, 평균연령 : 58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폐색전증의 위험인자로 심부정맥혈전증과 고령이 가장 많았고 폐색전증이 의심된 임상증상으로 갑자기 발생하였거나 악화된 호흡곤란이 가장 많았다. 결 과: 20명의 환자 중 spiral CT로 폐색전증으로 진단된 환자는 16명이었고 3명은 각각 폐암, 폐기종 환자에서 발생한 폐농양을 동반한 폐렴, 울혈성 심부전에 의한 흉막삼출증으로 색전을 확인할 수 없었다. 나머지 1명은 spiral CT에서 정상 소견이었다. 폐환기관류주사에서 고확률로 판정된 12명의 환자중 1명에서 spiral CT로 폐기종 환자에서 발생한 폐농양을 동반한 폐렴인 위양성으로 진단할 수 있었다. 폐환기관류주사에서 저 중동도 확률을 보이는 4명 중 3명에서 spiral CT로 폐색전증을 진단할 수 있었다. 야간, 기계호흡 등의 이유로 폐환기관류주사를 시행치 못한 3명에서 spiral CT로 폐색전증을 진단 또는 배제할수 있었다. 폐색전증으로 진단된 16명 중에서 폐엽동맥 수준 이상의 색전은 11례 였으며 분절하동맥 수준 이하의 색전 경우는 5례였다. 결 론: 이상의 결과로 spiral CT는 폐분절동맥까지의 폐색전증의 진단에 유용하며, 특히 중심성 폐색전증의 확진과 배제에 있어서 중요한 진단방법이라고 생각된다. 향후 폐색전증의 진단에 spiral CT가 진단과정에 도입될 수 있는지에 대한 대규모의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