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Irrigation Frequency, Particle Size and Depth of Perlite Medium on Growth and Flowering of Dendranthema grandiflorum Grown on Recycling System

순환식 양액재배에 있어서 관주 주기, Perlite의 입자 크기 및 깊이가 국화 '수방력'의 생육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

  • Kim, Sun Hwa (Dept. of Horticul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Ki Sun (Dept. of Horticul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1999.06.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rrigation frequency, particle size and depth of perlite medium on the growth of Dendranthema grandiflorum (Ramat.) Kitamura 'Shuhouno-chikara' grown on recycling system. In Exp 1, the irrigation frequency (IF) was designed as 3 (IF3), 9 (IF9), and 18 (IF18) times a day. Fine and coarse particle size (PS) of perlite was used as a media, and depth of media (DM) was 15 and 10 cm contained in $34{\times}120{\times}15cm$ styrofoam bed. In Exp 2, the IF was 3 (IF3), 6 (IF6), and 9 (IF9) times a day with the same amount of nutrient solution. Fine and coarse PS were used, and DM was 15 and 7.5 cm. In this study, high IF and fine PS was favorable for plant growth. However, as the IF became frequent, difference of plant growth between fine and coarse PS became smaller. Also, shallow media showed little difference with deep media in plant growth. Thus, decreasing the amount of media was recommended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본 연구는 절화용 국화의 생산에 있어서 관주 주기, 펄라이트 배지의 입자 크기 및 배지 깊이가 생육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실험 1에서 관주 주기는 하루에 3, 9, 18회로 처리하였으며 가는 입자와 굵은 입자 펄라이트를 각각 단용으로 처리하였다. 배지 깊이는 $34{\times}120{\times}15cm$의 스티로폴 성형 베드내에서 15, 10cm로 하였다. 실험 2에서 관주 주기는 하루에 3, 6, 9회로 하여 한 번에 동일한 양을 관주하였고 배지는 가는 입자와 굵은 입자 펄라이트를 각각 단용으로 처리하였다. 배지 깊이는 같은 베드 내에서 15, 7.5cm로 하였다. 관주 횟수에 따른 생육의 차이를 살펴보면 실험 1에서, 관주 주기간 생육의 차는 거의 없었지만 체내 무기성분의 함량은 18회 관주시 가장 많았다. 실험 2에서는 9회 관주시 가장 생육이 좋았고 체내무기성분의 함량도 많았다. 배지 굵기간 차이를 살펴볼 때, 가는 입자 배지에서 생육이 월등하게 좋았으나 관주가 잦아질수록 생육의 차는 줄어들었다. 같은 관주 주기 내에서 배지간 생육 차이는 배지내 수분보유능력과 공극률의 차이와 뿌리 뻗음의 형태적 차이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배지 깊이간 생육의 차이는 거의 없어서 배지의 양을 줄임으로써 생산비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Korea Research Foun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