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ttern of Pusan Station Shopping District(II)

부산역(釜山驛) 상점가(商店街)의 패턴(II)

  • 김원경 (신라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지역정보학과)
  • Published : 1999.12.31

Abstract

This study concern with the pattern of Pusan Station shopping district within Pusan City, Korea, one of the special functioned shopping district within Pusan City. This paper will serve as a part of series studies which attempt to clarify the internal structure of Pusan as a whole. Part(II) of this study deals with the functions including living related, restaurants and others. The pattern of floors, size of shops, street corners and widths of streets were also analy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terms of numbers of firms in living related function, Pusan Station shopping district is the $7{\sim}8th$ ranked central place among nine the highest centers within Pusan City. Pusan Station shopping district has not much promoted vertical spatial differentiation comparatively, and also it's intensity of land use is the lower among nine the highest centers. It is presented that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intensity of vertical land use and classes of central places within the city. The ratio of inns and hotels in Pusan Station shopping district is third ranked in Pusan City. And the size of inns and hotels in this area is the most largest among the nine highest ranked central places within Pusan City. These presented that the traditional characteristics of station area as a special functioned shopping district. Inns and hotels mainly located along the narrower and back street. And it forms agglomerated areas or 'an alley of inns' at the inner parts of blocks, some like a 'hidden flower'. In Korea, 'alley' means that an area of specialization gains the prestige, traditionally. 2. Restaurants mainly locate along the narrower and back streets. And agglomerated areas of restaurants coincide with the agglomerated area of drinking places. It shows that these two kinds of functions need the same locational conditions. The ratio of Chinese restaurants is the highest in the Pusan Station shopping district. It's due to the agglomerated area these kinds of restaurants at the 'China town'. 3. Pusan Station shopping district has been formed along the streets within the residential areas. It's means that this shopping district now at the initial or middle growth era in development stage of shopping areas. 4. In general, wholesales and light manufacturing are located at peripheries within shopping district. But in Pusan Station shopping district, it dose not appear these spatial pattern. It shows that this area is lower ranked central place and not much progressed in spatial differentiation. 5. Particular firms which customers and workers have stayed more longer period of time are located at the far from the first floor. This vertical spatial differentiation is similar to the horizontal sequences. 6. Firms which have more ability of rental payment are located at street comers such as banks and pharmacies. In Pusan Station shopping district commercial facilities could not invade into the second third floors at narrower streets and first floor of back streets, still now.

도시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이면 누구나 "도시란 무엇인가?"라는 화두(話頭)가 떠오르게 편다. 그리고 끊임없이 생각을 확장시켜 갈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은 "도시란 무엇인가?"에 대한 대답이 아니라 도시적인 현상, 도시의 특징, 농촌과의 차이점으로 사고(思考)를 진행시켜 갈 것이다. 또한 화두(話頭)가 무엇인지 망각하면서 계속해서 도시를 연구하고 또 분석할 것이다. 이렇게 화두(話頭)와 사고(思考)의 방향이 서로 엇갈리게 되는 경우가 인간의 현상에 있어서는 그리 흔하지 않을 것이다. 도시란 오묘한 존재임에는 틀림이 없다. 도시의 내부구조를 파악하기 위해서, 그리고 그 구조에 영향을 비치는 어떤 공간적인 원리, 나아가서 법칙이 존재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는 것이 도시지리학도들이다. 우리가 관심을 가지는 것은 가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그 현상 뒤에 숨어서 그 현상을 존재하도록 하는 법칙일 것이다. 어떻게 그 법칙을 추구할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진리를 찾을 수 있을까? 과연 찾을 수 있을까? 지리학에 있어서 '무엇이 어디에 있는가?'하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왜, 어떻게 있느냐'가 중요하다. 그러나 어디에 무엇이 있는지도 모르는 채 '왜', '어떻게'에 대한 정확한 해답을 얻을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생긴다. 우리는 누적(累積)된 연구 성과의 중요성을 등한시 해서는 안된다. 선배들의 연구 업적을 간과해서도 안될 것이며, 또한 무비판적으로 수용해서도 안될 것이다. 지리학도들은 미시적(微視的)인 공간에 적용되는 원리는 거시적(巨視的)인 공간에도 적용되며, 그 역(逆)도 성립한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다. 본 연구는 미시적인 지역에 대한 접근이다. 부산시 내부에 존재하고 있는 CBD를 비롯한 여러 계층의 중심지(상점가)에 대한 접근의 일환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최종적으로는 부산시 전체의 공간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을 염두에 두고 지난 10여년간 단계적으로 행하여 온 연구의 한 부분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부산역 상점가는 부산시 내부에서는 온천장 상점가와 더불어 오히려 특수 기능 상점가의 하나이다. 이곳에 대해서 본 논문에서는 기능별 패턴의 일부, 층별 규모별 패턴, comer의 패턴, 가로별 패턴을 분석하여 부산역 상점가에 대한 접근을 완성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