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Urinary Mass Screening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hildren Over a 3-year Period(1995-1997) in Seoul

서울지역내 초.중.고 학생들에 실시된 3년 동안의($1995{\sim}1997$) 집단뇨검사 결과 분석

  • Kang Ho-Seok (Department of Pediatrics, Seoul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Chong-Guk (Department of Pediatrics, Seoul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강호석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백병원 소아과학교실) ;
  • 이종국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백병원 소아과학교실)
  • Published : 1999.10.01

Abstract

Purpose : The urinary mass screening program for the detection of proteinuria in school aged population has been performed in Seoul since 1981. Systematic evaluation in corporation with the Seoul School Health Center for students with proteinuria identified in the mass screening has been performed from 1987. The results of urinary mass screening up to 1994 was reported. I report here the results of urinary mass screening from 1995 to 1997 and compare them with previous results and attempt to reveal the significance of urinary mass screening. Objects and Methods : In the 3-year period between 1995 and 1997, annually about 460,000 students comprising 3 different age groups; 5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2nd grade of middle school and 2nd grade of high school were chosen, corresponding to the approximate ages of 11, 14, and 17 years, respectively. These subjects accounted for 26% of total school aged children in Seoul. The screening program was carried out in 3 steps. The 1st test was performed with dipstick at school and the 2nd at the Seoul School Health Center. Those students who showed proteinuria in the 1st and 2nd tests were referred to the hospital. Laboratory examinations including renal biopsies were performed to those students with pathologic proteinuria to clarify the incipient renal diseases. Results : 1) The prevalence of asymptomatic proteinuria was 0.28% in the 1st test. It peaked at the group of 14 years old as 0.34%, compared with 0.26% at the group of 11 years old and 0.24% at the group of 17 years old. It reached to 0.26% in male and 0.30% in female. 2) 25 percent of those having proteinuria at the first test were positive at the second test. 3) The proportion of patients with proteinuria by 3rd test were as follows; 25% of transient proteinuria, 55% of orthostatic proteinuria, 6% of constant proteinuria, 12% of proteinuria with hematuria, and 2% of transient proteinuria with isolated hematuria. Pathologic proteinuria were totaled as 20%. The prevalence of renal diseases among the age group of 7-18 years old was estimated to be 1.4 per 10,000. 4) Renal biopsy performed on 38 children with proteinuria at the third test revealed IgA nephropathy in 17(44%), focal segmental glomerusclerosis in 5(13%), minimal change disease in 4(11%), membranoproliferative glomeronephritis in 3(8%), $Henoch-Sch\"{o}nlein$ purpura nephritis in 3(8%), and others in 6(16%). Therefore, the prevalence of IgA nephropathy among the age group of 7-18 years old was estimated to be 0.64 per 10,000. 5) The prevalence of chronic renal failure was estimated to be 5.7 per 1 million of 7 to 18 years age group. Conclusions : 1) The prevalence of proteinuria in the first screening test was 0.28% and finally only 5% of them showed the pathologic proteinuria at the third test. 2) The prevalence of IgA nephropathy and chronic renal failure were 0.63 per 10,000 and 5.7 per 1 million, respectively among school-aged children in Seoul.

목적 : 만성 신질환의 조기진단을 위해 서울특별시 학교보건원과 공동으로 시행한 집단뇨검사에서 단백뇨 양성을 보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검사를 통해 무증상 단백뇨의 유병률과 신질환의 유병률 등을 규명하여 집단뇨 검사가 가지는 의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부터 1997년까지 3년 동안 서울시내 초 중 고 학생들 중 초등학교 5학년(11세군), 중학교 2학년(14세군), 고등학교 2학년(17세군)의 3개 연령군을 선정하여, 서울시내 전체 학생들의 약 26%를 차지하는 약 46만 명을 매년 검사대상으로 하였다. 단백뇨 검사는 3단계로 이루어졌으며 1차 선별검사는 학교에서 dipstick을 가지고 무작위로 채취된 소변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였고, 2차 검사는 1차 검사 양성자를 대상으로 서울특별시 학교보건원에서 시행하였으며, 3차 정밀검사는 1,2차 검사 양성자를 대상으로 병원에서 이루어졌다. 3차 검사에 응시한 학생들은 단백뇨 유형에 따라 5가지 형태로 분류하였고 이중 3, 4, 5형을 신질환 의심자로 판단하여 정밀검사를 받도록 하였다. 결과 : 1차 검사에서 무증상 단백뇨의 유병률은 평균 0.28%이었으며 11세군 0.26%, 14세군 0.34%, 17세군 0.24%로 14세군이 다른 군에 비해 다소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 무증상 단백뇨의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남자0.26%, 여자 0.30%로 거의 차이가 없었다. 1차 검사 단백뇨 양성자의 25%가 2차 검사에서도 단백뇨 양성을 보였다. 3차 검사의 단백뇨 양성자는 5개의 단백뇨 유형으로 분류하였고 정상으로 생각되는 일시적 단백뇨가 25%, 기립성 단백뇨가 55%로 확인되었으며, 병적 단백뇨로 신질환을 의미하는 지속성 단백뇨가 6%, 혈뇨가 동반된 단백뇨가 12%, 혈뇨가 동반된 일시적 단백뇨가 2%로 3차 검사 응시자의 20%에서 신장염이 의심되었다. 따라서 서울시 학생들($7{\sim}18$세)의 신질환 유병률은 1만명당 1.4명이었다. 신조직 검사가 가능했던 38명의 병리 조직학적 병변은 IgA 신병증이 17명(44%)으로 가장 많았으며 초점성 분절성 사구체경화증이 5명(13%), 미세변화 4명(11%), 막증식성 사구체신염 3명(8%), 헤노흐 쉔라인 자반병 신염 3명(8%), 기타 6명(16%)순 이었다. 서울시 학생들($7{\sim}18$세)의 IgA 신병증 유병률은 1만명당 0.64명으로 추정되었다. 만성신부전증은 3차 정밀검사를 위해 내원한 학생들 중 4명에서 나타났으며 이에 근거하여 서울시 학생들($7{\sim}18$세)의 만성신부전증 유병률은 1백만명당 5.7명으로 추정되었다. 결론 : 서울시내 학생들 중 11세, 14세, 17세 3개 군에서 한 번 검사로 확인된 무증상 단백뇨의 유병률은 0.28%(약 2.8명/1,000명)이었고 이들중 약 5%만이 3차검사에서 신질환이 의심되었으며 이에 따른 신질환 유병률은 1만명당 1.4명이었다. $7{\sim}18$세 연령층에서 무증상으로 발생하는 사구체 신질환 중에는 IgA 신병증의 유병률이 가장 높아 1만명당 0.64명으로 추정되었고 만성신부전증의 유병률은 1백만명당 5.7명으로 추정되었다. 집단뇨 검사를 통해 확인되는 신질환은 대부분 사구체 질환이기 때문에 집단뇨검사의 의의는 좀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