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北韓) 지역(地域) 산림면적(山林面積) 변화(變化)의 규모(規模)와 특성(特性)

Content and Characteristics of Forest Cover Changes in North Korea

  • 이규성 (인하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 정미령 (인하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 윤정숙 (인하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투고 : 1999.04.28
  • 발행 : 1999.09.30

초록

북한의 산림면적 변화에 대한 규모와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1910년 제작된 조선임야분포지도와 그동안 국내외에 발표된 다양한 통계자료를 종합 분석하였다. 또한 지형적으로나 지리적 특성이 서로 대조적인 평양주변지역과 혜산주변지역에 대하여 1973년부터 약 10년 주기로 촬영된 Landsat 위성영상자료를 처리하여 각 시점의 토지피복도를 작성하여 산림변화의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1990년대 이전에 발표된 북한 전체의 산림면적은 약 $89,000km^2$에서부터 $98,000km^2$까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나, 조사방법의 불투명성으로 인하여 신뢰도에 많은 의문이 있다. 1991년 두 종류의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북한 전 지역의 산림면적을 추정한 결과 위성자료와 처리방법이 달랐음에도 불구하고 매우 비슷한 산림면적을 보여주는데 추정된 산림면적은 그 이전의 자료에 비하여 뚜렷한 감소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가장 최근 북한에 의하여 유엔에 보고된 산림면적은 $75,519km^2$로서 1991년 위성자료 추정치와 비교하였을 때 약 $10,000km^2$의 급격한 감소를 보였다. 평양과 혜산지역에 대한 위성영상자료의 분석 결과도 매우 유사한 변화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1980년대에는 1973년 자료에 비하여 다소의 감소가 있었으나 1993년 영상에서는 산림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북한의 산림면적 변화는 1990년대부터 악화된 북한의 경제 사정과 최근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대규모 자연재해 현상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된다. 북한지역의 위성영상 분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특정은 산지임에도 불구하고 임목이 거의 분포하지 않는 무립목지가 상당히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이러한 무립목지는 잠재적인 황폐화 가능지로서 이 지역의 현황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It has been rare to obtain reliabl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ize of forest land in North Korea. Several sources of forest statistics, ranging from the first map of forest distribution in Korean Peninsula produced in 1910 to official data reported by the North Korea Government in 1997, were gathered and analyzed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forest cover changes over years. In addition, Landsat satellite data obtained from 1973 to 1993 were processed for the two study areas of the provinces of Pyungyang and Heasan, where the topography and land use patter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each other. Using three sets of multitemporal Landsat imagery, land cover ma-ps were produced by computer classification. Although forest statistics reported before 1990 are somewhat inconsistent, they mere gradually decreasing over years. The estimates of 1991 satellite data and the recent statistics reported in 1998 shows very steep decline in forest lands as compared to the ones before 1990. The abrupt decrease of forest lands after 1990 was also found on the detailed analysis of Landsat data for the two study areas of Pyungyang and Heasan. The rapid decline of forest lands may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 poor economic situation of the country and the continuing natural disasters of severe flooding and drought. Unstocked forest, which was not classified into forest land, was a very distinct and pervasive land cover type that can be easily observed on satellite imagery. Since unstocked forest land in North Korea may be a critical factor for degrading environmental quality as well as for the continuing natural disasters, further analysis is necessary to define the exact extent an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ver type.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과학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