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rticulation between Chemistry Contents of Science Textbooks a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nd the Analysis of Students' Preception on Chemistry Concepts

초등학교와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화학 영역에 대한 연계성과 중학생들의 화학 개념에 대한 인식 분석

  • Han, Yu Hwa (Department of Chemical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Kang, Dae Hun (Department of Chemical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Yang, Il Ho (Department of Chemical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Paik, Seoung Hey (Department of Chemical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Park, Kuk Tae (Department of Chemical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한유화 (한국교원대학교 화학교육과) ;
  • 강대훈 (한국교원대학교 화학교육과) ;
  • 양일호 (한국교원대학교 화학교육과) ;
  • 백성혜 (한국교원대학교 화학교육과) ;
  • 박국태 (한국교원대학교 화학교육과)
  • Published : 19990600

Abstract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rticulation between chemistry contents of science textbooks a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level, to survey students ? perceptions on chemistry concepts, to establish guidelines for science textbooks that not only meet the needs of learners but also fit in a coherent way. In order to do this, we analyzed links of the aims and the organization of chemistry content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we also surveyed students' perceptions on chemistry concepts students had retained. The study revealed that the 6th middle school curriculum was almost a duplicate of the elementary school syllabus. And there was no interrelation between the organization of chemistry contents and the aim of the chapter which built up a logical picture of the world at a molecular level. It was also found that the lack of coherence between science textbook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was a major cause of student difficulty.

제 6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와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화학 영역에 대한 연계성을 분석하고,화학 개념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학습자 수준에 맞고 연계성 있는 과학 교과서 제작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와 중학교 과학과목 의 교육목표와 화학 영역 내용체계간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화학 개념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었다. 연구 결과, 제 6차 교육과정의 초등학교와 중학교과학과 교육목표는 거의 반복 진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물질의 미시적 세계를 다루고 있는 물질의구성 영역에서 초등학교와 중학교간의 단원멸 목표와 내용체계의 간격이 다소 큰 것으로 보아 연계성이 부족하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연계성이 부족한 영역에 대해 학생들은 대체적으로 이해하기 어렵다는 반응을 보었으며, 연계성 있는 내용조직이 학생들의 내용 이해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Journal of Korean Science Education v.13 Hur, M.
  2. M. Ed. Thesis; Seoul National Univ. Choi, Y. N.
  3. Journal of Korean Science Education v.11 Song, S. H.;Lee. Y. H.;Lee. J. R.;Kim. S. W.;Kang, S. H.;Park, J. Y.;Kang, S. J.;Kim, K. H.;Yoo, K. H.
  4. 경북대학교 교육연구지 v.29 여환진;김진헌
  5. 현대교육과정 유봉호
  6.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Tyler, R. W.
  7. 교육과정 곽병선
  8. Chemical Education v.12 Han, B. H.
  9. M. Ed. Thesis; Kongju National Univ. Yoo, Y. K.
  10. M. Ed. Thesis; Wonkwang Univ. Kim, H. J.
  11. M. Ed. Thesis; Ewha Womans Univ. Kim. D. Y.
  12. 초등학교 자연과 교육과정 해설 교육부
  13.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해설 교육부
  14. 초등학교 자연 3, 4, 5, 6학년 교과서 교육부
  15. 중학교 과학 1, 2, 3학년 교과서 강영희;조완규;권숙일;나일성;소현수;조회구;이민호;윤길수;하효명;서평웅;김종권;이영만;목창수
  16. 중학교 과학 1, 2, 3학년 교과서 송인명;이춘우;오제직;최석남;박영철;문형태;우영균;곽종흠
  17. 인천대학교 과학교육논총 v.9 노석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