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학연구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제12권2호
- /
- Pages.31-40
- /
- 1999
- /
- 1226-8046(pISSN)
- /
- 2288-2987(eISSN)
공동육아시설을 위한 환경디자인의 개념과 기준
A Concept and Standard of the Environment Design for the Joint Infant-rearing Facilities
초록
급격한 산업화로 인한 핵가족화, 맞벌이 부부의 증가 등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인간의 성장에 있어 중요한 시기인 유아시기의 부모, 온 집안이나 마을 공동체가 함께 키우던 육아 전통의 바탕이 무너져 버렸다. 일하는 엄마들은 아이를 스스로 양육하지 못하는 것으로 스트레스를 받고 전업 주부들도 육아에 자신감이 없고 아버지들은 육아의 책임을 면제받는 대신 아이들과 가정으로부터 소외된다. 따라서 자녀 양육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편적이고 포괄적인 보육 제도를 만들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바람직한 육아와 교육을 위해서 부모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한 보호와 생활, 교육, 나아가 학교 교육을 보완할 수 있는 공동육아가 대안적으로 마련되어 왔다. 공동육아는 기존 보육 제도와는 달리 조합원들이 출자금을 내어 주민 자치적으로 운영할 뿐 아니라 어린이들이 자연의 생명력을 직접 체험하게 하고자 한다. 따라서 기존의 보육 제도를 위한 환경. 시설의 기준과는 다른 공동 육아에 적합한 환경디자인에 대한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 교육의 개념이 시대 변화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를 파악하기 위해 이태리와 스웨덴에서 성공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유아 교육의 개념 및 공동육아의 개념을 문헌 조사를 통해 정립하였다. 또한 물리적 환경조성을 위한 기본 원칙과 실제적인 환경디자인을 위한 공간 구성과 환경 조건을 문헌조사 하였다. 그리고 공동육아의 개념과 특성 및 물리적 환경 제안을 조사.정리한 후 공동육아 환경디자인의 개념과 기준 및 디자인 요소를 설정하였다. 마지막 결론으로 공동육아를 위한 환경디자인의 디자인지침을 제시하였다.
Because of the oocIear family due to the rapid industrialization and the growth of husband and wife bah working, the base of the tradition that the parents, all of the famly or the hamet oonmunity bring up the infants together in the important time to the infarts has been collapsed in Korea. Because working mothers camot bring up their children by themselves they got stressed and housewives do not have the oonfidence in rearing their infants and the fathers are isolated from home and the chikten instead of being exempted from the responsibility of rearing children. Therefore the common and comprehensive rearing system should be made for solving the child-rearing problem. For solving these problems and for the desirable infant-rearing and education, the joint irlart rearing, whidl compensates for the life, education and furthermore the sdlool edJcation through the volur1ary participation, has been prepared altematively. Compared to the traditional rearing system, joint infant-rearing is not only operated by the residents with the dues paid by the union members but also makes children experience the life force of natu"e in themselves. So the preparation of the standard of the suitable environment design for the joint infant-rearing is required which is diffrent from the traditional standard of the environmertal facilities for the traditional rearing system. The concept of joint infant-rearing was defind in this study through the reference and the ooncept of infant edJcation which is in operation suocessfully in Italy and Sweden in order to understand how the ooncept of infant education has changed as the ages have dlanged. And the basic principals for the formation of physical envirorvnert and the spare design and the envirorYnertal oondition for the practical environmental design was also studied through the reference. And after study about the concept. figure and physical environmental suggestion, the concept, standard and element of joint infant-rearing environment design was suggested. And as the final conclusion, the design requirement of the envirorvnertal design for the joint infant-rearing was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