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Wumul-maru Components of Sarang-taechong in traditional Houses

전통주택 사랑대청의 우물마루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 오혜경 (정회원,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부 주거환경전공) ;
  • 홍이경 (정회원,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부 주거환경전공)
  • Published : 1999.09.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wumul-maru components of Sarang-taechong with themselves in traditional houses. Physical trace method was used for this study. The samples were taken from the Sarang-taechong of 6 traditional Korean houses, Yunkyungdang, the ancient Chusa estate, Sunkyojang, Chunghyodang, Yangjindang, Unjoru. The major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Regarding to the changgui't'ul(long board); the number was from 0(minimum) to 3(maximum), the size was $244.3{\times}4407.1mm$ on average, and the proportion was 1:18.9. 2) Regarding to the tongguit'ul(center board); the number was from 5(minimum) to 18(maximum), the size $188.7{\times}2374mm$ on average, and the proportion was 1:12.9. 3) Regarding to the marunol; the number was from 42(minimum) to 155(maximum), the size was $247{\times}574mm$ on average and the proportion was 1:2.29.

Keywords

References

  1. 건축 v.90 전통 주거 난방의 사적 고찰, 온돌을 중심으로 김선우
  2.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v.107 高說式 온돌집의 구성형식에 관한 연구 류근주;김경표
  3. 우리옛 집 이야기 박영순 외
  4. 마루의 발달을 통해본 겹집의 평면형태에 관한 연구-매개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중심으로- 박진근
  5. 한국의 살립집 상.하 신영훈
  6.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75 전통온돌의 시대적 변천과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여명석
  7. 우리나라 전통 정주공간의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염근호
  8. 조선조 창살문양에 관한 연구 이도희
  9.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104 고려시대 기거양식에 관한 연구 이정국;이강업
  10. 목조 장기인
  11. 전통온돌의 구조와 열성능 정기범
  12. 한국건축양식론 정인국
  13. 문화재 v.20 온돌과 부뚜막의 고찰 주남철
  14. 한국건축의장 주남철
  15. 한국주택건축 주남철
  16. 이조시대 주택의 장식적 의장에 관한 연구 천병옥
  17. 조선상류주택 내부공간의 인체치수와 상관성에 관한 연구 최상헌
  18. 한국 주거사 홍형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