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Background: Since 1992, we developed the technique for video endoscopic sympathectomy to treat palmar hyperhidrosis. It was soon proven to be a simple and effective therapy for essential hyperhidrosis. Compensatory hyperhidrosis, however, is the main cause of patient dissatisfaction after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ympathectomy. According to many authors, initial satisfaction rate was high(94-98%), but it was declined with time (66%) due to mainly to embarrassing side effects. Material and Method: From January 1992 to February 1998, the thoracoscopic T2 sympathicotomy, T2 sympathectomy and T2-4 sympathectomy were performed in 315 patients suffering from Essential hyperhidrosis in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in the Respiratory Center of Yongdong Severance Hospital Seoul, Korea. Eighty-nine patients underwent T2 sympathicotomy, and Eighty-eight patients underwent division T2 sympathectomy. Result: All of the treated patients obtained satisfactory alleviation of essential hyperhidrosis. The global rate of compensatory sweating were ; 64.0% in T2 sympathicotomy, 73.8% in T2 sympathectomy and 87.8% in T2-4 sympathectomy. The rate of embarrassing or disabling compensatory sweatin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2 sympathicotomy 15.7%(14/89) and in T2 sympathectomy 32.8%(28/88) than in T2-4 sympathectomy 58.0%(80/138) with significancy in statistic analysis(p<0.05). Video- assisted thoracoscopic sympathectomy is an effective minimally invasive and effective procedure. Conclusion: We suggest that the incidence and degree of compensatory hyperhidrosis was closely related to the extent of thoracic sympathectomy.
배경: 연세대학교 영동세브란스병원 흉부외과에서 1992년 다한증환자에서 흉곽내시경을 이용한 교감신경절제술을 시행한이래로 교감신경절제술은 원발성 다한증환자에서 간편하고 효과적인 치료방법이다. 수술직후의 만족도는 94∼98%로 보고되는 반면 6개월이 지난 장기 추적조사에서의 만족도는 약 66%로 보고되고 있고 만족도가 떨어지는 원인으로 보상성다한증에 의한 일상생활의 불편이 가장큰 요인이다. 대상 및 방법:연세대학교 영동세브란스 흉부외과에서 1992년부터 1998년 까지 783례의 다한증 수술환자중 T2 교감신경절단술 환자 89명(1군), T2 교감신경절제술 88명(2군), T2-4 교감신경절제술 138명(3군)을 대상으로 각각의 수술방법에 따라 보상상다한증의 발생 빈도와 정도을 비교하였다. 보상성다한증의 정도를 1, 없다(Absence); 2, 약간있다(Mild); 3, 눈으로 보일정도이나 생활에 지장이 없다(Embarrassing); 4, 생활에 불편할정도로 많으며 하루에 2-3번내의를 갈아입는다(Disabling)로 구분하였다. 결과: 모든 환자에서 증상이 소실되었으며 전체적인 보상성 다한증의 발생율은 1군이 64%, 2군이 73.8%, 3군이 87.8%였으며 Embarrassing 과 Disabling 의 경우 1군 15.7%, 2군 32.2%, 3군 58.0% 로 수술방법에 따른 보상성 다한증의 발생과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p<0.05) 결론: 이와 같은 결과로 보상성 다한증의 발생과 정도는 교감신경절제의 범위와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보상성 다한증을 줄이고 장기 추적조사에서의 만족도를 증가 시키기 위해서는 T2 교감신경절제술 보다는 T2 교감신경절단술이 종 더 유용할 것으로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