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ncellation of Moving Artifact in EDA Signal to Detect Drowsiness(II)

졸음 검출을 위한 EDA신호의 동잡음 제거법(II)

  • Published : 1999.06.01

Abstract

This paper proposed a method for the cancellation of the moving artifact which was produced during the detection of drowsiness usmg electrodermal activity signal. Two types of wrist electrode were developed to overcome the defect of the steering wheel type electrode which couldn't eliminate the moving artifacts due to driver's movements. Wrist type electrode II which has been modified from electrode type I was most effective for eliminating movmg artifacts compared to wheel type electrode and wrisL type electrode 1. The decIsion criteria(if IRI$\leq$10 and 1.1$\leq$dNz) for detecting moving artifact was determined from the virtual driving experiments. An algorithm which substituted past value of Nz for the current value of Nz whenever an EDA signal satisfied the criteria was developed. The experimental resulls of virtual driving and road test showed that the proposed algorithm had been successfully removed the most of the error due to the moving artifact Therefore, the developed system which use electrode type II and the algorithm might be less influenced by moving artifacts and could measure an accurate arousal state.

본 연구에서는 피부전기활동을 이용한 졸음 검출시 발생되는 동잡음 제거법을 제안하였다. 운전 조작시 발생하는 동잡음을 제거할 수 없는 기존의 핸들형 전극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두 종류의 손목형 전극을 개발하였으며, 세 종류의 전극을 비교 실험한 결과, type I 전극을 개선한 손목형 전극 II가 동잡음 제거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가상 운전 실험을 통하여 동잡음 판별기준(IRI$\leq$10과 1.1$\leq$dNz)을 설정하고 이 기준을 동시에 만족하는 경우의 Nz값을 동잡음 발생이전의 Nz값으로서 치환하는 동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가상 및 도로 주행 실험결과 제안된 알고리즘은 동잡을 성공적으로 제거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에서 제안된 알고리즘의 개선된 전극을 이용하여 구현된 시스템은 동일한 영향을 받지 않고 각성상태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Computer Makers Drive Smart Cars NIKKEI ELECTRONICS ASIA
  2. J. Physiol. Soc. Japan v.30 Skin potential activities as a function of stage of sleep Nimi, y;Watanabe, T.;Hori, T.
  3. T. IEE Japan v.108-c no.7 The characteristics of galvanic skin reflex in low awake level and their application to measurement of sleep Y. Yamamoto;T. Yamamoto
  4. 제어.자동화.시스템공학 학회지 v.2 no.1 운전자 감시 제어와 교통안전도 향상연구동향 이상국
  5. 센서학회지 v.5 no.3 피부 전기활동을 이용한 휴대형 각성도 측정 및 제어 시스템 고한우;이완규;김연호
  6. 의공학회지 v.18 no.1 각성도 제어를 위한 평가기준의 설정 및 경고음의 효과 분석 고한우;김연호
  7. 센서학회지 v.4 no.3 피부 임피던스 변화를 이용한 각성도 측정 시스템 고한우;이완규
  8. 한국자동차공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v.I 졸음운전방지를 위한 각성도 측정 및 분석 시스템(I) 고한우;이완규;김창호
  9. 추계한국자동제어학술대회 논문집 v.13 no.2 졸음 검출을 위한 EDA 신호의 동잡음 제거법 김연호;고한우;유준
  10. 대한의용생체공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v.19 no.2 EDA를 이용한 경고음과 향기자극의 각성효과 분석 김연호;고한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