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percritical $CO_2$ Extraction of Genistein from Soybean

초임계 $CO_2$를 이용한 대두 Genistein의 추출

  • Published : 1999.08.0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some factors affecting th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f genistein from soybean. The factors investigated in this study were pressure, temperature, flow rate of carbon dioxide, and concentration of modifier. It was foumd out that genistein is not extracted in the absence of modifier. Ethanol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modifier than methanol. 70% of genistein was extracted at 35$^{\circ}C$, 300bar and ethanol 15% (w/v) as compared with the performances of organic solvent extraction.

보조용매가 포함되지 않은 초임계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추출한 결과 온도 및 압력, 유속 등을 변경시켜도 genistein은 추출되지 않았다. 유기용매로 soaking한 결과를 보면 1mL ethanol로 soaking한 경우, 7.8%의 추출수율을 보였으며 함량도 약 7.8%정도를 나타내었다. Methanol로 soaking한 경우 더 낮은 수율과 함량을 보였다. 보조용매가 포함되지 않은 초임계이산화탄소로 추출한 결과 추출이 되지 않아서 보조용매를 이용하였다. 동일한 온도 압력 하에서 추출한 결과를 보면, ethanol이 methanol보다 효과가 우수하였다. 보조용매를 이용할 때 온도의 영향은 ethanol을 보조 용매로 사용한 경우, 압력 300bar일 때에 75$^{\circ}C$에서 56.4%의 최대수율을 나타내었고 함량은 55$^{\circ}C$일 때가 가장 높았다. 온도 35$^{\circ}C$조건에서 9%의 ethanol을 보조용매로 사용하여 압력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300bar에서 genistein은 48.1%의 추출 수율을 얻을 수 있었다. 함량은 200bar일 때가 가장 높았지만 300bar와 비교해서 큰 차이가 없었다. 또한 ethanol을 보조용매로 사용할 때 초임계이산화탄소 유량에 대한 영향은 유량이 증가할수록 추출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함량도 약간 증가하였다. 온도 35$^{\circ}C$, 압력 275bar에서 ethanol 농도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ethanol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추출량도 증가하였으나 19%이후부터는 증가율이 둔화되었다. 보조용매를 첨가한 초임계유체를 이용하여 genistein을 추출하였을 때에 ethyl ether를 사용하여 추출했을 때와 비교해서 35$^{\circ}C$, 300bar, 30분간의 추출에서 genistein은 71% 추출수율과 31.5%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Nutrional Biochemistry v.6 The antioxidant activity of genistein in vitro Record, I. R.;E. Ivor;J. K. McInerney
  2. J. Food Tech. no.January Phytoestrogen Content of Processed Soybean Products Murphy P. A.
  3. International Publication Number WO9850026A1 Treatment or Prevention of Menopausal Symptoms and Osteoporosis KELLY;Graham;Edmund
  4. J. Agric. Food Chem. v.38 A Simplified HPL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Phtoestrogens in Soybean and Its processed Products Wang, G.;S. S. Kuan;O. J. Francis;G. M. Ware;Allen S. Carman
  5. J. Chromatogr. v.666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assay for genistein in biological fluids Supko, J. G.;L. R. Phillips
  6. Science v.267 Tyrosine Kinase Inhibition: An Approach to Drug Development Levitzki, A.;A. Gazit
  7. Nut. Cancer v.21 Soy Intake and Cancer Risk: A Review of the In Vitro and In Vivo Data Messina, M. J.;V. Persky;D. K. R. Setehell;S. Barnes
  8. US. Patent 5506211 Genistein for use in inhibiting osteroclasts Barnes, S.;H. C. Blair
  9. J. Nutr. v.126 A Soy Protein Isolate Rich in Genistein and Daidzein and Its Effects on Plasma Isoflavone Concentrations, Platelet Aggregation, Blood Lipid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Plasma Phospholipid in Normal Men Gooderham M. J.;H. Adlercreutz;S. T. Ojala
  10. J. Chromatogr. v.295 Semi-preparativ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isolation of soybean isoflavones Farmakalidis, E.;P. A. Murphy
  11.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Taylor, L. T.
  12. Journal of Chromatographic Science v.33 Effect of Pressure, Temperature, Modifier, Modifier Concentration, and Sample Matrix on the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Efficiency of Different Phenolic C ompounds Ashraf-khorassani, M.;S. Gidanian;Y. Yamini
  13. Korea J. FOOD. SCI. TECHNOL. v.25 no.3 초임계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참치유에서 EPA 및 DHA 추출 윤정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