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cosystem of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the East Sea, Korea I.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and Primary Productivity in September, 1994

한국 동해 남부 연안생태계 연구 1. 1994년 9월에 있어서의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와 1차생산력

  • Published : 1998.01.01

Abstract

Phytoplankton community and primary productivity have been investigated in a fall season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the last Sea, Korea. A strong thermocline formed at the 20\~60\;m$ layer and a cold water mass also existed in the bottom around Yong-il Bay. The offshore of the surveyed area was likely to be influenced by relatively warmer water, whereas the inshore represented Higher primary productivity with lower water temperature and lower salinity. A total of 133 species of phytoplankton occurred, representing 107 spp. of diatom, 23 spp. of dinoflagellate 3 spp. of silicoflagellate. Skeletonema costatum and Asterionellepsis glacialis were most predominant with more than $30\%$ dominance ratio, while Leptocylindrus danicus was also dominant at all transect lines. Standing crops of phytoplankton ranged from $2.7{\times}10^3\;to\;141.6{\times}10^3\;cell^{\ell-1}$. Chlorophyll a concentration varied with stations and layers, but the $30\~50$ m layer showed maximun with about $1.18{\mu}g{\ell}^{-1}$ rather than at the surface layer. It is believed that the maximun in standing crops and chlorophyll of phytoplankton formed at the $20\~50$ m layer above the thermocline during the survey. Phytoplankton primary productivity ranged from 0.32 to 3.04 mgC $m^{-3}\;hr^{-1}$, showing higher at the inshore than at the offshore. The range of integrated primary productivity was $263.3\~1085.5 mgC\;m^{-2}\;day^{-1}$ for the euphotic layer. Photosysthesis rates varied with the range from 0.76 to 8.04 mgC mgChl $\alpha^{-1}\;hr^{-1}$. Phytoplankton photosynthesis at the inshore was saturated at lower irradiance ($15\~35\%$ of surface) and showed higher efficiency, Thus, it revealed that the phytoplankton community probably adapted to the middle of euphotic layer because the depth of mixing layer became thinner due to the formation of thermocline.

한반도 동남해역에 있어서 가을철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 및 1차 생산력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표층 연속관측 시스템에 의해 조사해역은 여러 수괴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개정점에서 chl a 최대를 보였다. 영일만 부근의 해수특성은 $20\~60m$에서 강한 수온약층이 형성되었으며 저층에는 냉수괴가 존재하였다. 조사해역의 연안역은 비교적 생산력이 높고 상대적 저온$\cdot$저염수가 존재하고 있었으며 외해역은 상대적 고온수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총 133종으로 규조류가 총 107종 (40속, 96종, 2변종, 2품종, 9미동정종), 와편모조류가 총 23종 (10속, 18종, 1품종, 4미동정종), 규질편모조류가 총 3종 (2속, 3종)으로써 구성비율은 규조류가 전체 종수의 $80.5\%$, 와편모조류가 $17.3\%$를 차지하고 있다. $30\%$이상의 높은 우점율이 보인 종류는 Skeletonema costatum 과 Asterienellopsis glacialis 였으며, Leptocylindrus danicus는 모든 관측 line에서 우점하여 조사해역의 대표종이었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2.7{\times}10^3\~141.6{\times}10^3\;cells^{\ell-1}$의 범위로 규조류가 양적으로 우세하였고 $20\~30$m 층에서 비교적 높은 분포를 보였다. Chlorophyll a 농도는 정점별, 수층별 변화폭이 컸으며, 표층보다는 30m와 50m 층에서 $1.17\~1.18{\mu}g^{\ell-1}$로 최대를 보였다. 조사해역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및 chl a은 수온약층 상부경계에 해당하는 $20\~50m$에서 최대층을 형성하고 있었다. 표층의 1차 생산력은 $0.32\~3.04mgC\;m^{-3}\;hr^{-1}$의 범위이며, 수층의 면적당 일일 1차생산력의 범위는 $263.3\~1085.5 mgC\;m^{-2}\;day^{-1}$로써 연안역이 외해역 보다 높았다. 광합성율의 범위는 $0.76\~8.04mgC\;mgChl\;{\alpha}^{-1}\;hr^{-1}$로써 연안역의 식물플랑크톤이 비교적 낮은 광량에서 광합성이 포화되고 광합성효율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해역에 있어 식물플랑크톤의 포화광량은 표층광도의 $15\~35\%$인 특성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수온약층의 형성과 함께 수직 혼합층이 상대적으로 얇아지기 때문에 유광층 중층부에서 적응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