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신체의학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 제6권1호
- /
- Pages.79-84
- /
- 1998
- /
- 1225-6471(pISSN)
좌반구 뇌졸중후 우울증 환자에서 우반구 뇌경색이 수반된 급속 순환형 이차성 양극성장애 1례
A Case of Rapid Cycling Secondary Bipolar Disorder Following Rt. Hemisphere Cerebral Infarction in a Patient with Preceeded Left Hemisphere Poststroke Depression
- Chang, Ho-Kyun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eoul Red Cross Hospital) ;
- Yi, Ho-Taek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eoul Red Cross Hospital) ;
- Paik, Ju-Hee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eoul Red Cross Hospital) ;
- Lee, Sang-Yeon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eoul Red Cross Hospital)
- 발행 : 1998.06.15
초록
저자들은 뇌졸중후 우울증보다 매우 드물게 발생하는 뇌졸중후 양극성장애 증례를 경험하여 보고하였다. 좌반구 기저핵 뇌경색이후 뇌졸중후 우울증을 앓아오던 환자에서 조증 에피소드가 발병하여 원인을 규명하는 과정에서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한 결과, 이차성 양극 성장애와 연관되는 것으로 보고되어온 우반구 기저핵의 새로운 뇌경색이 밝혀졌다. 한 환자에서 좌반구 뇌졸중이후 우울증, 우반구 뇌졸중이후 양극성장애의 발생이 시간적 연관성을 보였으며, 한편 뇌졸중후 우울증과 이차성 양극성장애 각각이 병변 위치와 특이한 연관성을 보여주고 있다. 문헌 고찰에 의하면, 이차성 조증이 주로 피질의 병변과 연관성을 보이는 반면, 양극성 장애는 피질하 병변에서 호발하는 것으로 보고되어왔으며, 이차성 조종의 위험인자로는 정신장애의 가족력과 경한 피질하 위축이 제시되었다. 이 증례에서도 우반구 피질하 병변과 경한 피질하 위축이 관찰되었다. 뇌졸중 병변위치와 기분장애의 상관성 및 위험인자에 대한 연구는, 일차성 기분장애의 신경생물학적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임상에서도 뇌졸중 환자의 정신증상 치료에서 조중 유발의 위험성을 인식하는데 도움이 될수 있을 것이다.
Authors report a case of poststroke bipolar disorder that occurs much less frequently than poststroke depression(PSD). A MRI study performed to identify the etiology of a secondary manic episode in a patient with preceded PSD after left basal ganglia infarction revealed newly developed right basal ganglia infarction associated with poststroke bipolar disorder.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1) the temporal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occurrence of PSD after left hemisphere stroke and the occurrence of poststroke bipolar disorder following right hemisphere stroke, and that (2) the occurrence of PSD and the occurrence of poststroke bipolar disorder are associated with lesion location respectively. It has been reported that bipolar disorders were associated with subcortical lesions of the right hemisphere, whereas right-cortical lesions led to unipolar mania and that risk factors for mania included a family history of psychiatric disorders and mild subcortical atrophy. In this case, MR image shows subcortical lesions of the right hemisphere and mild subcortical atrophy. The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s among stroke lesion locations and potstroke mood disorders and risk factors for poststroke bipolar disorder may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neurobiology of primary mood disorder. A clinical implication is that the risk of secondary bipolar disorder after cerebral infarction should be highlight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