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Persuasive Messages on Users' Littering Norms and Behavior in a Forest Recreation Setting

산림휴양지(山林休養地)에서 쓰레기투기(投棄) 행동(行動)과 규범(規範)에 미치는 설득(說得)메시지의 효과(效果)

  • Kim, Sang-Oh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Cha, Kyung-Soo (Department of Fore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An, Ki-Wan (Department of Fore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김상오 (전남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
  • 차경수 (전남대학교 농과대학 임학과) ;
  • 안기완 (전남대학교 농과대학 임학과)
  • Received : 1997.03.17
  • Published : 1998.09.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whether persuasive messages with different contents of information (aesthetic, aesthetic+ecological, aesthetic+ecological+economic, aesthetic+ecological+economic +educational) about the consequences of littering influence users' awareness of the consequences of littering, personal norms and littering behaviors in a recreation setting based on the Schwartz's norm activation theory. Data were collected at the Second Campground in the northern managerial district of Chirisan National Park. Of the total 177 questionnaires distributed, 144(85%) were used for the study. In addition to that,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personal norms on littering were changed from 1994 to 1996, data collected at the same campground in 1994 were also partly us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persuasive messages didn't directly affect the users' level of the awareness of the consequences(AC) of littering, personal norms, and littering behavior. People whose awareness of the consequences of littering are higher, however, tended to have stronger personal norms about littering. And also, people whose awareness of the consequences of littering are higher or people whose personal norms are stronger appeared to litter fewer than people whose awareness of the consequences or the strength of personal norms are lower. The extent of personal norms about littering was not changed through 1994 to 1996. The results were discussed and some management alternatives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Schwartz의 규범활성화이론을 산림휴양지에서의 쓰레기투기 행동에 적용하여 본 것으로 쓰레기투기 행동의 1)미적, 2)미적+생태적, 3)미적+생태적+경제적, 4)미적+생태적+경제적+교육적 결과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각기 다른 설득메시지가 휴양객의 쓰레기투기의 결과에 대한 인지도, 쓰레기투기에 대한 개인규범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본 연구를 위한 데이터는 1996년 8월중 지리산 국립공원의 북부관리소지역에 위치한 제 2야영장에서 수집되었으며, 총177부중 144부(85%)가 본 연구를 위하여 이용되었다. 더불어, 휴양객의 쓰레기투기 행동에 대한 규범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1994년에 같은 장소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부분적으로 이용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다른 내용을 포함한 설득메시지(미적, 미적+생태적, 미적+생태적+경제적, 미적+생태적+경제적+교육적)의 제공은 쓰레기투기 행동의 결과에 대한 인지도, 개인규범 또는 쓰레기투기 행동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쓰레기투기 행동의 결과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응답자는 낮은 응답자에 비하여 쓰레기를 지정된 장소가 아닌 곳에 함부로 버리지 않아야 한다는 개인규범의 강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쓰레기투기 행동의 결과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응답자 또는 개인규범의 강도가 높은 응답자는 낮은 응답자에 비하여 쓰레기를 지정된 장소이외의 곳에 함부로 버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1994년과 1996년 사이에 제 2야영장을 이용한 휴양객들의 쓰레기투기 행동에 대한 개인규범의 강도에는 변화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토의와 더불어 몇 가지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