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wo endemic foci of heterophyids and other intestinal fluke infections in southern and western coastal areas in Korea

전북 부안군과 경남 사천군 해안지역에서 발견한 이형흡충류 및 기타 장흡충류의 유행지

  • 채종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감염병연구소) ;
  • 송태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감염병연구소)
  • Published : 1998.09.01

Abstract

Two endemic foci of heterophyid infections were discovered in coastal villages of Puan-gun. Chollabuk-do, and Sachon-gun. Kyongsangnam-do, Korea. Fecal examina- tions were performed on 153 inhabitants of Puan-gun and 138 of Sachon-gun, using cellophane thick smear and formalin-ether sedimentation technique. The helminth egg and/or protozoan cyst positive rate was 21.5% (33/153) in Puan-gun and 39.1% (54/138) in Sachon-gun. In Puan-fun, the egg Positive rate of heterophyids was the highest, 17.6%, and that of other parasites was 0.7-2.6% by parasite species. In Sachon-gun, that of heterophyids wa's 18.8%, followed by Clonorchis sinensis (12.3%). and other parasites (0.7-5.OBEI . Twenth-two (Puan-gun) and six (Sachon-gun) heterophyid egg Positive cases were treated loth praziquantel, and adult flukes were collected from their diarrheic stools. A total of 3,284 adult flukes of Heterophyes nocens was collected from all of the 22 patients treated in Puan-gun (3-778 individually) , and other trematodes were also collected from 2- 15 patients; Ftgidiopsis sumac, Stellcntchcsmus JcEcctus, Metogoninus Wokogaupci, M. miyntci, Stictodora Juscnta, Heterophwopsis continua, Acnnthopcrwphium kurognmo, and GWmnophaELoines seoi. In Sachon-gun, M. yokognwci (3,007 specimens), H. nocens (120), aud S. falcatus (46) were collected from 5 of 6 treated patients, and H. continuo and 5. tan each from one patient.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heterophyid flukes, especially If. nocens and M. Wokofowai, are prevalent in the southern and western coastal areas of Korea where fresh and/or brackish water fishes are popularly eaten raw.

우리 나라 일부 해안 지역의 장내 기생충 감염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전북 부안군 주민 153명 및 경남 사천군 주민 138명의 대변을 수집하여 셀로판 후층 도말법 및 포르말린-에테르 침전법을 실 시하였다. 전북 부안군의 기생충 감염률은 21.5% (33/153명)이었으며, 감염 기생충별 양성률은 이형흡충류 17.6%, 간흡충 2.6%, 회충 0.7%, 람블편모충 2.6%, 대장아메바 0.7% 및 작은와 포자충 0.75이었다. 경남 사천군의 기생충 감염률은 39.1% (54/138명)로서 이형흡충류 18.8%, 간흡충 12.3%, 편충 2.2%, 람블편모충 2.2%, 대장아메바 5.0%, 이질아메바 0.7%, 왜소아메바 3.6% 및 작은와포자충 4.3%의 양성률을 보였다. 부안군에서 이형흡충란 양성자 22 명으로부터 회수한 충체는 유해이형흡충이 총 3,284마리 (평균 149.3마리)였으며 표주박이형흡 충, 수세미이형홉충, 요코가와흡충, 미야타흡충, 자루이형흡충, 참굴큰입흡충, 긴이형흡충 및 Aconthopowphium kurogamo등이 중복 감염되어 있었다. 사천군에서 이형흡충란 양성자 중 6명으로부터 회수한 충체는 요코가와흡충이 총 3,007마리 (평균 501.2마리)였으며 유해이형흡충, 수 세미이형흡충, 긴이형흡충, 갈매기이형흡충 등의 이형흡충류가 중복감염되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우리 나라 남해 및 서해안 지역 주민들에서 담수어 또는 반염수어의 생식 습관으로 장내 흡충, 특히 이형흡충류의 유행이 지속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