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nical Findings and Therapy of Ureteral Duplication in 61 Children

소아에서의 중복요관에 관한 임상적 고찰

  • Yook Jin Won (Departments of Pediatrics,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Ji Hong (Departments of Pediatrics,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Pyung Kil (Departments of Pediatrics,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Han Sang Won (Departments of Ur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육진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지홍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병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한상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비뇨기과학교실)
  • Published : 1998.08.01

Abstract

Purpose : Renal duplication is a common occurrence, and the range of ureteral and renal anomalies draining the two poles of the duplex kidney leads to a variety of clinical presentations. Method : A series of 61 children with duplicated systems was studied retrospectively who were admitted during last 12years. Results : Of the children $60.6\%$ were accompanied with urologic anomalies that required surgical treatment, and most children initially were presented with urinary tract infection. $42.6\%$ of children were either diagnosed incidentally during evaluation of other non-urologic disease or during follow-up evaluation of abnormal antenatal renal sonogram. Conclusion : From our point view, children with history of abnormal antenatal renal sonogram, or with symptoms such as urinary tract infection, hematuria, abdominal pain should be evaluated radiologially fully to confirm further abnormality and accompanied complications. And routine follow-up using abdominal ultrasonogram, VCUG, and urine culture should be used to prevent and detect early treatable complications.

목 적 : 중복요관은 전체 인구의 약 $0.8\%$에 이르는 비교적 발생 빈도가 높은 기형의 하나로 최근에는 산전 초음파를 통해 발견되기도 하지만, 혈뇨나 복통, 요로감염의 증상으로 진단되어지며, 다른 비뇨기 계통의 기형을 동반하는 경우가 있다. 저자들은 중복요관 환아들을 대상으로 진단의 단서가 되었던 임상양상과 동반 질환 여부 및 치료 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8세 미만의 61례의 중복요관 환아를 대상으로 후향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결 과 : 61명의 전체환아의 진단당시의 평균연령은 5.6세였고, 추적관찰의 평균기간은 3년 7개월이었으며, 여아가 42명이었고 남아가 19명으로 남녀 비는 1:2.2였다. 양측 중복요관 환아는 16명($26.2\%$), 완전 중복요관 환아는 24명($39.3\%$)이었다. 산전 초음파상 이상소견으로 발견된 경우가 8례($13\%$)있었고, 요로감염을 단서로 진단되었던 경우가 19례($31.1\%$)로 가장 많았다. 동반질환은 비뇨기 계통이 아닌 기형이나 질환이 11례($18\%$)있었고, 50명($82\%$)은 중복요관 이외의 비뇨기계 다른 질환을 동반하였다. 편측 중복요관환아 45명의 경우 좌측이 23명($51.1\%$)이었고, 이들중 21명($46.7\%$)이 완전 중복요관으로 진단되었다. 전체환아중 비뇨기계의 문제를 동반하여 수술을 받았던 환아는 37명($60.6\%$)이었고, 이 중 방광 요관역류를 동반한 예가 27명($44.3\%$)으로 가장 많았다. 결 론 : 중복요관 환아의 $60.6\%$가 수술을 요하는 비뇨기계의 다른 질환들을 동반하였으며, 특히 요로감염이 선행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뇨기계증상 없이 산전진찰이나 우연히 발견되었던 경우가 전체 대상 환아의 $42.6\%$를 차지하므로, 따라서 산전초음파에서 비뇨기계의 비정상적인 소견이 발견되었거나 요로감염, 혈뇨, 복통 등의 증상이 있는 소아들은 반드시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하여 중복요관 및 다른 기형이 동반되는지를 확인하여 조기진단 및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고, 복부초음파, 배설성 방광요도조영술, 소변 배양검사 등의 주기적인 추적관찰로 향후 발생할수 있는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