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nical Outcome and Follow-up of Neonatal Hydronephrosis Diagnosed Antenatally

산전 진찰에서 진단된 신생아 수신증에 대한 추적 관찰

  • Park, Su-Eun (Department of Pediatrics, Pusan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Su-Yung (Department of Pediatrics, Pusan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박수은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수영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Published : 1998.08.01

Abstract

Purpose : Lots of congenital anomalies of urinary tract including hydronephrosis are detected in fetus and neworn by popular use of prenatal ultrasonography. But there are little data available in Korea about natural course of hydronephrosis diagnosed antenatally by ultrasonography. So we intended to help management of these patients by analizing the follow up data of the neonates with hydronephrosis diagnosed antenatally. Methods : We evaluated 22 patients with neonatal hydronephrosis(33 renal units) who were diagnosed prenatally and confirmed postnatally. Especially patients with suspected ureteropelvic junction obstruction were followed regulary with renal ultrasonography and diuretic renography for 8-24 months. Results : 1) The etiologies of neonatal hydronephrosis diagnosed prenatally were suspected ureteropelvic junction obstruction($69.9\%$), vesicoureteral reflux($15.1\%$), primary megaureter($3.0\%$), double ureter with ureterocele($3.0\%$), ureteral stricture($3.0\%$), multicystic dysplastic kidney(3.0$\%$), and ureterovesical junction obstruction(3.0$\%$). 2) The follow up results of 23 renal units of suspected ureteropelvic junction obsruction: Except 4 renal units with palpable abdominal mass, of the remained 19 renal units, 14 units($73.6\%$) were improved spontaneously, 3 units($15.7\%$) remained stable, only2 units($10.5\%$) were aggravated. Conclusion : We concluded that in most cases of hydronephrosis there is no need for immediate surgery, and that nonoperative approach, using serial ultrasonography and diuretic renogram, is safe management of neonatal hydronephrosis diagnosed anteratally.

목 적 : 산전초음파 검사의 흔한 실시로 태아의 여러 선천성 신장 질환이 조기에 많이 발견되고 있고 태아의 수신증 또한 많이 발견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산전에 발견된 무증상의 신생아기 수신증의 자연 경과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실정으로, 국외에서 이에 대한 여러 임상 보고가 최근 들어 증가하고 있으나, 국내 보고는 극소수이다. 이에 향후 더 많은 환자에 대한 장기간의 추적을 통하여 수신증의 자연 경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3년 1월부터 1995년 12원까지 산전 초음파 검사에서 수신증으로 진단받고 출생후 실시한 복부 초음파 검사에서 수신증이 확인된 22명의 환아(33 renal unit)를 대상으로 하여 수신증의 원인을 분석하고, 이중 요관신우이행부 폐색이 의심되는 신장에 대해서는 8-24개월 동안 자연 호전 유무를 신 초음파 검사와 배설성 신주사 검사로 추적 관찰하였다. 결 과 : 1) 출생후 실시한 신초음파 등의 검사로 밝혀진 신생아기 수신증의 원인으로 요관 신우이행분 폐색이 23례($69.9\%$), 방광요관역류가 5례($15.1\%$)였으며, 선천성 거대요관, 요관협착, 요관방광이행부 폐색, 요관류를 동반한 중복요관, 다낭성 이형성신 이 각각 1례씩이었다. 2) 요관신우 이행부 폐색으로 진단된 23례의 신장중 복부 종괴가 촉지되었던 4례의 신장을 제외한 19례의 신장중에서 $73.6\%$에 해당하는 14례의 신장이 추적 관찰 기간 동안 수신증의 완전 소실 혹은 호전을 보였으며 단지 2례만이 수신증이 악화되었고, 이중 1례는 신기능의 저하 소견을 보여 수술을 시행받았다. 결 론 : 산전에 발견된 신생아기 수신증의 원인으로 요관신우이행부 폐색이 의심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이의 대부분은 실제로 비폐색성 수신증이었고 추적 관찰 기간 동안 대부분 자연 호전되었다. 그저나 현재까지 신생아 시기에 폐색성 수신증을 정확하게 진단하기는 힘드므로 장기간에 걸쳐 주의 깊게 추적 관찰하여 수술적 치료 여부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