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le of Postoperative Conventional Radiation Therapy in the Management of Supratentorial Malignant Glioma - with respect to survival outcome and prognostic factors -

천막상부 악성 신경교종에서 수술 후 방사선 치료의 역할 - 생존율과 예후인자 분석 -

  • Nam Taek Keun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College of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Chung Woong Ki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College of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Ahn Sung Ja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College of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Nah Byung Sik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College of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남택근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교실) ;
  • 정웅기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교실) ;
  • 안성자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교실) ;
  • 나병식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교실)
  • Published : 1998.12.01

Abstract

Purpose : To evaluate the role of conventional postoperative adjuvant radiotherapy in the management of supratentorial malignant glioma and to determine favorable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survival. Materials and Methods : From Sep. 1985 to Mar. 1997, the number of eligible patients who received postoperative radiotherapy completely was 69. They ranged in age from 7 to 66 years (median, 47). Forty-two (61$\%$) patients were glioblastoma multiforme and the other 27 (39$\%$) were anaplastic astrocytoma. Twenty patients (29$\%$) had Karnofsky score equal or more than 80 preoperatively. Forty-three patients (62$\%$) had symptom duration equal or less than 3 months. Twenty-four patients (35$\%$) had gross total resection and forty patients(58$\%$) had partial resection, the remaining five patients (7$\%$) had biopsy only. Radiotherapy dose ranged from 50.4 Gy to 61.2 Gy (median, 55.8; mode, 59.4) with fraction size of 1 8 Gy-2.0 Gy for 33-83 days(median, 48) except three patients delivered 33, 36, 39 Gr, respectively with fraction size of 3.0 Gy due to poor postoperative performance status. Follow-up rate was 93$\%$ and median follow-up period was 14 months. Results : Overall survival rate at 2 and 3 years and median survival were 38$\%$, 20$\%$, and 16 months for entire patients; 67$\%$, 44$\%$, and 34 months for anaplastic astrocytoma; 18$\%$, 4$\%$, and 14 months for glioblastoma multiforme, respectively (p=0.0001). According to the extent of surgery, 3-year overall survival for gross total resection, partial resection, and biopsy only was 38$\%$, 11$\%$, and 0$\%$, respectively (p=0.02) The 3-year overall survival rates for patients age 40>, 40-59, and 60< were 52$\%$, 8$\%$, and 0$\%$, respectively (p=0.0007). For the variate of performance score 80< vs 80>, the 3-year survival rates were 53$\%$ and 9$\%$, respectively (p=0.008). On multivariate analysis including covariates of three surgical and age subgroups as above, pathology, extent of surgery and age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overall survival. On another multivariate analysis with covariates of two surgical (total resection vs others) and two a9e (50> vs 50<) subgroups, then, pathology, extent of surgery and performance status were significant factors instead of age and 3-year cumulative survival rate for the five patients with these three favorable factors was 100$\%$ without serious sequela. Conclusion : We confirmed the role of postoperative conventional radiotherapy in the management of supratentorial malignant glioma by improving survival as compared with historical data of surgery only. Patients with anaplastic astrocytoma, good performance score, gross total resection and/or young age survived longest. Maximum surgical resection with acceptable preservation of neurologic function should be attempted in glioblastoma patients, especially in younger patients. But the survival of most globlastoma patients without favorable factors is still poor, so other active adjuvant treatment modalities should be tried or added rather than conventional radiation treatment alone in this subgroup.

목적 : 천막상부 약성 신경교종의 치료로서 수술 후 방사선 치료의 역할을 생존율을 중심으로 평가하며 그 예후 인자를 분석한다. 대상 및 방법 : 1985년 9월부터 1997년 3월까지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받은 69례의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고 나이의 범위는 7세에서 66세이며 중앙값은 47세였다. 42례(61$\%$)는 다형성 교모세포종 이었고 27례(39$\%$)는 악성 성상세포종이었다. 20례(29$\%$)는 Karnofsky 역할수행능력 점수가 80점 이상이었다. 43례(62$\%$)는 수술 전 3개월 이내에 증상을 호소하였다. 24례 (35$\%$)는 육안 상 완전 절제를, 40례(58$\%$)는 부분 절제를, 나머지 5례(7$\%$)에서는 뇌정위 조직검사만 시행하였다. 총 방사선 조사량은 50.4-61.2Gy(중앙값, 55.8; 최빈값, 59.4)로 하루 1.8-2.0 Gy 씩 33-83일 동안(중앙값, 48) 치료하였다. 단 3례는 수술 후 전신 상태의 불량으로 하루 3.0Gy 씩 각각 33, 36, 39Gy 까지 치료하였다. 추적 관찰율은 93$\%$였고 중앙간은 14개월이었다. 결과 : 전체 환자의 2년 및 3년 생존율과 중앙 생존기간은 각각 38$\%$, 20$\%$, 16개월이었다. 악성 성상세포종과 다형성 교모세포종의 중앙생존기간은 각각 34, 14개월이었다(p=0.0001). 완전절제, 부분절제, 뇌정위 조직검사군에서의 3년 생존율은 각각 38$\%$, 11$\%$, 0$\%$였다(p=0.02). 연령이 40세 미만, 40-59, 60세 이상 군의 3년 생존율은 각각 52$\%$, 8$\%$, 0$\%$였다(p=0.0007). 역할수행 능력점수 80점 이상과 80점 미만군의 3년 생존율은 각각 53$\%$, 9$\%$였파(p=0.008). 상기와 같이 절제 정도에 따른 3개의 수술 군과 3개의 연령 군을 포함한 다요인 분석에서 병리학적등급, 수술 정도, 연령이 유의한 인자였다. 그러나 2개의 수술 군(완전절제와 비완전 절제)과 2개의 연령 군(50세 미만과 50세 이상)을 공변량으로한 다요인 분석에서 연령대신 병리학적 등급, 수술 정도, 역할수행 능력이 유의한 인자였고, 이들 세 가지 요인을 갖춘 5례는 치료와 관련한 심각한 부작용 없이 3년 누적생존율이 100$\%$로 생존하고 있다. 결론 : 악성 신경교종의 치료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추가함으로써 기존의 수술 단독의 생존율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악성 성상세포종 환자 중, 특히 양호한 역할수행 능력과 완전 절제를 받은 환자군의 생존율이 가장 양호하였다. 다형성 교모세포종 환자에서는 특히 젊은 나이인 경우 적절한 신경학적 기능보존과 함께 최대한의 종양 절제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양호한 예후 인자를 갖지 못한 대부분의 다형성 교모세포종 환자군의 생존율은 여전히 좋지 않아 이 환자 군에서는 수술 후 통상적인 방사선 치료보다는 다른 적극적인 치료가 추가 또는 시도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