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Amylose Content on Quality of Rice Bread

아밀로오스 함량이 쌀식빵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1998.06.01

Abstract

Seven varieties (Suweonjo, Suweon232, BG276-5, IR44, IR41999-139, Suweon230 and Yongjubyeo) of rice were used to study for making rice bread by amylose content. Suweonjo had the highest amylose content (27.07%) and Yongjubyeo had the lowest one (17.17%). Suweonjo showed the highest volume after baking, while Yongjubyeo the lowest volume one. Volume and hardness of the rice bread decreased as amylose content decreased. The amylose content was not associated with hardness and color values of rice bread after baking. Sensory evaluation for internal parts of rice bread showed that score of air cell, color of crumb, aroma, taste, chewability and texture decreased as amylose content increased, while volume of rice bread increased. The low-amylose rice cultivar revealeded better suitability for rice bread.

아밀로오스 함량이 서로 다른 7가지(수원조, 수원232, BG276-5, IR44, IR41999-139, 수원230, 용주벼) 쌀 품종을 이용하여, 각각 쌀식빵을 제조한 후 특성을 비교하였다. 아밀로오스 함량은 수원조가 27.07%로 가장 높았고(P<0.05), 용주벼는 17.17%로 가장 낮은 값을(P<0.05) 나타내었다. 쌀식빵을 제조한 후 부피를 측정한 결과 수원조는 1116.67 mL로 최대값을(P<0.05)을 나타낸 반면, 용주벼는 903.33 mL로 최소값을 (P<0.05) 나타내었다. 즉, 아밀로오스 함량이 증가 할수록 부피도 증가하였다(r=0.9974). 쌀식빵의 조직감 및 색도는 아밀로오스 함량과 일정한 양상을 보이지 않았다. 관능검사 결과 쌀식빵의 부피는 아밀로오스 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r=0.9974) 나타낸 반면, 쌀식빵 내부의 기공크기, 껍질의 색깔, 향, 맛, 씹힘성, 조직감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종합적인 기호도 검사 결과 amylose 함량이 감소할수록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즉, 쌀식빵에는 낮은 아밀로오스 함량을 가진 품종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