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mative Aesthetic of Head Accessory Design in Korean Women

우리나라 여성의 머리 장신구 디자인에 대한 조형미

  • Yang, Lee-Na (Dapt. of Made & Textile-Design, Pai Chai University) ;
  • Choi, Na-Young (Dapt. of Clothing & Textile, Seoul Woman's University)
  • 양리나 (배재대학교 의류학부 패션 디자인 학과) ;
  • 최나영 (서울 여자 대학교 자연과학 대학 의류학과)
  • Published : 1997.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ormative aesthetic of head accessory design in korean women. Coming to Chosen, women from the court ir the nobility were Jukui, Wonsam, Whalot, Dangui and so on and as for the hair-form in this era, there were a long trees of hair for single and Unzonmeri(By making a tree with hair and raised up roundly) and Jjokmeri(Doing one's hair up in a chignon on the back of one's head) for married, as for a wig for ceremony they used Daeshu(As a same with today's wig added various head accessory design), Kunmeri(Putting a big hair made with a tree of Dukuji on Ayemeri) and Ayemeri(A big hair made with Darae on the head) and as for an head accessory design, there were Biye, Ddelgam and Chupji, which hadn't regularly developed untill the era Chosun. As is known, coming to the era of Chosun, the widely and generally used Biye and Duykokii fitted well to the most usual Jjokmeri.

본 연구는 우리 나라 여성 머리 장신구의 시대적 흐름에 따른 그 변천 과정을 고찰하고 머리 장신구가 각 개인의 외모에 뚜렷한 분위기를 갖게 하고 개성을 표현케 하는 이상적 매체, 즉 조형예술의 한 형태로 인식하여 머리 장신구의 조형미를 탐구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자료를 통하여 고찰하였고, 고분 벽화, 정기 간행물, 그리고 학위논문 등을 참조하였다. 연구 내용으로는 우리 나라 고대 여성의 머리 장신구의 기원 및 변천 과정을 살펴보았고, 근대 여성의 머리 형태에 따른 머리 장신구의 조형미를 종류와 형태, 재료, 문양으로 분류하여 각기 그 특성을 파악하였다. 여성의 머리 장신구에 대한 관심은 현대에 와서도 여전하며,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머리 장신구 디자인의 조형미를 살펴봄으로써 우리 나라의 전통적인 형태와 문양을 반영할 수 있는 머리 장신구 디자인의 개발과 우리 나라의 독특한 재료를 사용하여 기능성과 미적인 측면을 공유한 현대적인 디자인을 고안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Keywords